훈 (訓) |
인하다 |
因 |
음 (音) |
인 |
부수 (部首) |
囗 (에울 위) 3획 |
획수 (劃數) |
총 6획 |
|
한국어[편집]
형태소[편집]
- ‘인하다’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 因果/인과, 因習/인습, 因襲/인습, 因緣/인연, 因子/인자, 近因/근인, 起因/기인, 內在因/내재인, 動因/동인, 等因/등인, 病因/병인, 福因福果/복인복과, 死因/사인, 素因數/소인수, 勝因/승인, 要因/요인, 原因/원인, 誘因/유인, 敗因/패인
- 인하다
일본어[편집]
합성어[편집]
중국어[편집]
- 병음: yīn(표준어)
- 병음: yan1(광둥어)
- 병음: in(민난어)
- 병음: yîn(하카어)
- 병음: in1(우어)
- …에 의해, …으로 인하여, …에 따라, …대로, …에 근거하여(동작이나 행위의 근거를 이끌어 낸다).
- 유의어: 按照 · 根据
- 因此 yīncǐ 이로 인하여
- 因為/因为 yīnwèi ...이기 때문에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권28 의자왕 條〉 (漢文本)
1281, 일연, 《삼국유사》, 〈권제1 기이(紀異) 상편 제이남해왕 條〉 (漢文本)
- 因故意或者重大過失造成對方財產損失的。/因故意或者重大过失造成对方财产损失的。 Yīn gùyì huòzhě zhòngdà guòshī zàochéng duìfāng cáichǎn sǔnshī de. 고의적으로 또는 중대한 과실로 상대방의 재산에 손실을 야기한 경우
- 인하다(因~: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 개사 1. 참조
- 말미암다, 원인이나 계기(契機)로 되다
- 의지하다(依支--)
- 의거하다(依據--)
- 겹치다
- 잇닿다, 연달다
- 因泣數行下, 遂遜于原州。잇닿아 눈물이 두서너 줄기 흘러 떨어졌다. 이윽고 왕위를 물려주고 원주(原州)로 갔다. (따옴◄朝鮮王朝實錄/太祖實錄/元年)
- 이어받다
- 따르다, 좇다
- 부탁하다(付託--)
- 쌓이다
- 친하게 하다, 친하게 지내다
- 인연(因緣)
- 연고(緣故), 연줄, 인연(因緣)
- 유래(由來), 연유(緣由), 까닭
- 원인(原因)을 이루는 근본(根本)
- 말미암아, 관련(關聯)하여
1281, 일연, 《삼국유사》, 〈권제1 기이(紀異) 상편 제삼 노례왕 條〉 (漢文本)
- ~의 이유(理由)로, ~에 의하여
- ~에서, ~부터
합성어[편집]
- 因此 yīncǐ 이로 인하여
- 因素 yīnsù 원인
- 因數/因数 yīnshù 인수
- 因為/因为 yīnwèi ...이기 때문에
- 基因 jīyīn 유전자
- 起因 qǐyīn 기인
- 原因 yuányīn 원인
- 誘因/诱因 yòuyīn 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