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보이기
한국어
[편집]로마자 표기 목록 | |
---|---|
국어의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gyeong |
국어의 로마자 표기 (음역)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 | gy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McCune-Reischauer | kyŏng |
예일 표기 Yale Romanization | kyeng |
명사
[편집]- 어원: 한자 卿.
번역
|
|
- 어원: 한자 經.
번역
|
|
- 어원: 한자 鏡.
번역
|
|
- 어원: 한자 京
번역
|
|
- 어원: 한자 景.
- 한국 성씨 중의 하나.
번역
|
|
수사
[편집]- 어원: 한자 京
번역
|
|
부사
[편집]- '그리'의 제주도 사투리.
접두사
[편집] 번역
|
|
번역
|
|
접미사
[편집]- 어원: 한자 輕
- 1-1. (시간이나 날짜 따위를 나타내는 대다수 명사 또는 명사구에 붙어) '그 시간 또는 날짜에 가까운 때'의 뜻을 더한다.
- 오후 5시경.
- 18세기경.
- 파생어: 월말경
번역
|
|
번역
|
|
- 어원: 한자 鏡
- 1-1. (일부 명사에 붙어) '어떤 특정 대상을 보기 위한 기구'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망원경 | ▪식도경 | ▪후두경 | ▪현미경 | |
- 1-2. (일부 명사에 붙어) '안경'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근시경 | ▪노인경 | ▪원시경 | ||
어근
[편집]- 어원: 한자 輕
- '경하다'의 어근.
번역
|
|
독음
[편집]- 다음 한자의 독음.
- 京 敬 輕 經 慶 更 景 庚 驚 耕 競 境 竟 警 鏡 傾 卿 頃 徑 硬 梗 瓊 儆 璟 炅勁 鯨 磬 頸 莖 脛 憬 痙 絅 耿 逕 坰 璥 擎 勍 涇 烱 暻 俓 倞 罄 扃 竸 冏 煢 惸 畊 鯁 哽 檠 綆 黥 褧 謦 駉 剄 熲 憼 焭 顈 経 軽 亰 獍 璚 曔 㯳 澃 挭 埛 麖 燝 牼鞕 囧 藑 㷀 傹 剠 桱 浭 綗 莄 誙 鶊 䪫 径 茎 倾 刭 劲 庆 弪 氢 泾 烃 琼 痉 竞 经 绠 胫 茕 轻 迳 镜 顷 颈 颎 鲠 鲸 鹒 䌹 儝 冂 冋 坕 坙 埂 婛 峺 巠 幜 庼 廎 弳 挳 掶 摼 擏 棾 椩 樈 橩 檾 櫦 殌 氫 滰 漀 烴 焿 煚 煛 燛 狅 猄 睘 瞏 苘 菮 葝 蘏 蟼 誩 赹 踁 郠 鍄 鑋 頚 駫 骾 鵛 鶁 麠 㒌 㓏 㜔 㢣 㤯 㩩 㪅 㬌 㯋 㷡 㷫 㹩 㹵 㹹 㼇 㾘 䃄 䋁 䌄 䔔 䔛 䜘 䮐 䯧 䲔 䵞
- 참조: 한국어로 "경"이라 읽는 한자들의 베트남어, 일본어, 중국어의 독음 대조 일람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