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편집]
- IPA/sʰa̠/
발음[사]
명사 1[편집]
이 뜻의 다른 언어 번역을 알고 싶으시면 '죽음'을 참고하세요.
명사 2[편집]
- 1. 서양의 칠음계에서 다섯 번째 이름. 음계 '솔'에 해당한다.
명사 3[편집]
- 어원: 한자 士
- 1. ‘士’ 자를 새긴 장기짝. 한 편에 둘씩 넷이 있고, 궁 안에서만 한 칸을 움직이며 왕을 보호한다.
- 2. 조선 시대에, 양반 계층인 선비를 이르던 말.
명사 4[편집]
- 어원: 한자 巳
- 1. 십이지(十二支)의 여섯째. 뱀을 상징한다.
명사 5[편집]
이 뜻의 다른 언어 번역을 알고 싶으시면 '역사'를 참고하세요.
명사 6[편집]
명사 7[편집]
- 어원: 한자 私
- 1. 개인이나 개인의 집안에 관한 사사로운 것.
번역
- 그리스어(el):
- 네덜란드어(nl):
- 노르웨이어(no):
- 덴마크어(da):
- 독일어(de):
- 라틴어(la):
- 러시아어(ru):
- 루마니아어(ro):
- 몽골어(mn):
- 불가리아어(bg):
- 브레통어(br):
- 스웨덴어(sv):
- 스페인어(es):
- 슬로바키아어(sk):
- 슬로베니아어(sl):
- 아랍어(ar):
- 아이슬란드어(is):
|
- 에스페란토(eo):
- 영어(en):
- 우크라이나어(uk):
- 이도(io):
- 이탈리아어(it):
- 인도네시아어(id):
- 인터링구아(ia):
- 일본어(ja):
- 중국어(zh):
- 체코어(cs):
- 카탈루냐어(ca):
- 타갈로그어(tl):
- 터키어(tr):
- 포르투갈어(pt):
- 폴란드어(pl):
- 프랑스어(fr):
- 핀란드어(fi):
- 헝가리어(hu):
- 히브리어(he):
|
명사 8[편집]
- 어원: 한자 詞
- 1. 중국 운문의 한 형식. 민간 가곡에서 발달하여 당나라 이후 오대(五代)를 거쳐 송나라에서 크게 성행하였다. 시형에 장단구가 섞여 장단구라고도 하며, 시여(詩餘)ㆍ의성(倚聲)ㆍ전사(塡詞)라고도 한다.
관형사[편집]
- 어원: 한자 四
- 1.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나 순서가 넷이거나 네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접미사[편집]
접미사 1[편집]
- 어원: 한자 士
- 1. (일부 명사에 붙어) '직업'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접미사 2[편집]
- 1. (일부 명사에 붙어) '일'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접미사 3[편집]
-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역사(歷史)’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접미사 4[편집]
-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절'의 뜻을 더한다.
접미사 5[편집]
- 어원: 한자 社
-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회사'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접미사 6[편집]
-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품사'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접미사 7[편집]
-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말'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