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문화어

위키낱말사전, 말과 글의 누리
위키백과에 이 내용과 관련한 문서가 있습니다.

문화어는 남북 사람들의 교류가 사실상 없었던 지난 반세기 이상의 세월 동안, 현재 남에서 쓰이는 말과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1]

남에서는 북의 사회적 문화적 실정을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북의 실제 언어생활이 어떤지는 여러 간접적인 관찰과 자료에 의존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북에서는 국어를 '조선어'라고 부르고 있으며, 나라의 표준이 되는 말은 '문화어'라고 부르며 나름대로 맞춤법을 만들어 규정하고 있습니다.

표준어과 문화어의 차이[편집]

남북 한국어에서 두드러진 차이점으로는, 맞춤법에서는 (한자어의) 두음법칙사이시옷 쓰임새, 그리고 띄어쓰기를 들 수 있습니다.

  • 남의 표준어에서는 성씨를 뺀 모든 한자어에 두음법칙이 적용되지만, 북에서는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낱말의 첫 번째 글자의 첫 자음이 'ㄹ'이나, 'ㄴ'으로 소리 난다고 정해진 한자어는 모두 소리 나는대로 읽고 씁니다.
표준어: 노동당, 역력하다, 여자, 염려하다
문화어: 로동당, 력력하다, 녀자, 념려하다
  •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원래 없던 소리 /ㄷ/이 덧나는 때 합쳐진 두 낱말에서 첫째 낱말의 끝소리에 'ㅅ'을 관용적으로 붙여 적는 것을 말합니다. 남에서는 사이시옷의 표기 규정은 몇 차례 수정과 개정을 거듭하고 있으며, 현재의 맞춤법에서는 소리 나는대로 적는다는 큰 원칙에 따라 한자어에도 사이시옷을 붙여 쓰고 있습니다. 이와 반면 북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으며, 합성어에서 앞에 선 낱말이 접사로 간주될 때에만 사이시옷을 붙입니다.
표준어: 귓구멍, 샛별
문화어: 귀구멍, 샛별

어휘 순화[편집]

북에서는 많은 한자어를 토박이말로 새롭게 풀이하여 낱말을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이런 시도는 이미 남북 분단 이전에 몇몇 국문학자에 의해 추진되었습니다만 남에서는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하였고, 북에서는 이런 노력이 아마 결실을 거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아래는 한자어 낱말을 토박이말로 풀어 쓴 보기입니다.

돌풍갑작바람
마찰음스침소리
(역도) 용상추켜올리기
침엽수림바늘잎나무숲

문화어 편집하기[편집]

문화어도 한국어이므로 문화어를 편집하는 방법은 한국어를 편집하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편집 방법에 대해서는 위키낱말사전:페이지 기안이란, 위키낱말사전:한국어 편집부를 참고하세요.

거의 대부분 문화어 낱말에는 상응하거나 대응하는 남의 표준어 낱말이 있으므로 낱말 풀이에 이를 짧게 밝혀 써넣고, 번역도 보기 틀을 이용하여 써넣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1. 국어연구원: 2009년 남북 언어 학술대회 논문집 (내려받기)
  2. 다른 곳에서 내려받는 파일 크기가 50-60 Kb이라면 전체 문서가 아니라 부분이라는 점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