徵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자[편집]
|
자원[편집]
이체자[편집]
한국어[편집]
형태소[편집]
- 1. ‘부르다’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중국어[편집]
동사[편집]
- 부르다.
-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권02 첨해 이사금 條〉 (漢文本)
- 王徵之爲阿飡 왕이 그를 불러 아찬으로 삼았다.
- 징집하다, 거두다, 구하다, 모집하다
- 기원전 91년경, 사마천, 《사기(史記)》, 〈권001 오제본기(五帝本紀)〉 (漢文本)
- 於是黃帝乃徵師諸侯 이에 황제는 제후들의 군사를 징발하였다.
- 징계(懲戒)하다. 응징(膺懲)하다.
- 참조 - 懲
- 기원전 91년경, 사마천, 《사기(史記)》, 〈권115 조선열전(朝鮮列傳)〉 (漢文本)
- 左將軍徵至 좌장군이 응징하기에 이르러...
- 밝히다, 증명하다, 검증하다.
명사[편집]
- 1. 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