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삭제 토론/2007년~2014년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아래의 내용을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
[[틀:일본어 일본의 화폐]]
[편집]어째서 쓸 데 없다는 것인가요? 어떤 사용자가 いちえん이라는 단어를 찾아갔다 칩시다. 그러면 그 다음에 한 걸음 나아가 ごえん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찾아 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는 게 바로 이 틀의 목적입니다.Nichetas 2007년 6월 27일 (수) 12:18 (UTC)
- 일본의 화폐의 종류가 도대체 얼마나 됩니까? 그리고 쓰여진 낱말들이 따로따로 낱말 사전에 수록되어야 하는지 혹은 낱말 '円' 하나로서 족하지 않은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흔(A-heun) 2007년 6월 27일 (수) 12:16 (UTC)
- 알겠습니다. 삭제 하세요.Nichetas 2007년 6월 27일 (수) 12:25 (UTC)
- 완료 --아흔(A-heun)
위의 두 낱말 가운데 어느 것이 북한에서 쓰는 표기인지 확인하세요. 이런 식으로 마구 낱말을 수록할 수 없습니다. --아흔(A-heun) 2008년 5월 21일 (수) 10:29 (UTC)
- 부르끼나빠소는 잘못된 표기, 부르끼나빠쏘는 북한에서 쓰는 표기입니다. 부르끼나빠소가 잘못된 표기이므로 삭제시킵시다. 부르끼나빠쏘가 정확한 북한말 표기입니다. --Russ 2008년 5월 21일 (수) 10:32 (UTC)
- delete misspelling article --아흔(A-heun) 2008년 5월 21일 (수) 14:36 (UTC)
[[사골뼈]]
[편집]한자어 사골 (四骨)이 이미 뼈라는 말을 담고 있는데 또다시 뼈를 붙여 쓰는 것은 마치 '역전앞'과 같이 한자어의 본래 뜻을 모르고 쓰는 말의 중복으로 바르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에서 정말 이렇게 쓰는지 의문스럽습니다. --아흔(A-heun) 2008년 5월 23일 (금) 17:23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6월 21일 (토) 08:49 (UTC)
[[출첵]]
[편집]이런 낱말은 한국어에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어에서 말하는 준말이란 낱말의 일부분이 줄어든 것을 뜻하면서 이와 더불어 대개 음운변화에 따라 줄어든 낱말을 뜻합니다 (참고 준말). 외국어에서 말하는 약자와 혼동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아흔(A-heun) 2008년 5월 26일 (월) 14:29 (UTC)
- 제가 [1]에서 출첵을 검색하니까 출첵이 인터넷채팅어이고, 제가 지금 학교에서 다니고 있을 때, 출첵이란 단어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학생들 사이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컴싸처럼요. --Russ 2008년 5월 26일 (월) 15:38 (UTC)
- 사용자께서 지금 이야기하는 바는 아마 유행어를 뜻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가령 낱말사전에 누가 초딩, 중딩, 고딩... 따위의 낱말을 수록한 것으로 아는데 이 또한 속어이자 유행어입니다. 그리고 '출석체크'는 <한자어 + 영어 외래어>로서 아름답지 못한 말일뿐만 아니라 뜻이 없습니다(제대로 쓰자면 '출점 < 출석 점검'). 이와 같은 낱말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으로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아흔(A-heun) 2008년 5월 27일 (화) 11:51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6월 21일 (토) 08:49 (UTC)
[[샤츠]]
[편집]이 표기가 정말 북한에서 쓰는 표기입니까? 아니면 일본식 표기를 그냥 북한 표기로 여기는 것입니까? --아흔(A-heun) 2008년 5월 27일 (화) 14:47 (UTC)
- 그것은 잘못 표기된 것 같습니다. 원래 북한에선 샤쯔라고 쓰는데, 샤츠라고 적힌 것 같습니다. --Russ 2008년 5월 28일 (수) 15:51 (UTC)
- delete. 남한에서 쓰는 말: 셔츠(shirt) --아흔(A-heun) 2008년 6월 21일 (토) 08:49 (UTC)
이 표기가 정말 북한에서 쓰는 표기입니까? 구글 검색에서 남한에서도 많이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군요. --아흔(A-heun) 2008년 5월 28일 (수) 15:18 (UTC)
- 북한에서도 쓰이는 표기이죠. [2]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남한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이건 사람들이 외래어 표기법을 모르고 적은 겁니다. --Russ 2008년 5월 28일 (수) 15:48 (UTC)
- 수록 --아흔(A-heun) 2008년 6월 21일 (토) 08:49 (UTC)
[[우둔한 고양이와 꾀 많은 생쥐]]
[편집]모두 여섯 낱말로 이루어진 이 문장이 낱말사전에 수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까? --아흔(A-heun) 2008년 6월 7일 (토) 13:05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6월 21일 (토) 08:49 (UTC)
[cémén]]
[편집]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cémén is mean a people who afraid or easy to afraid Azmi 2008년 7월 1일 (화) 08:15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7월 1일 (화) 14:49 (UTC)
이 낱말이 '완전소중'의 약자 유행어라고 하는데, 위에서 든 '출첵'과 같은 엉뚱한 조어에 속하는 것으로서 과연 낱말사전에 수록될 가치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아흔(A-heun) 2008년 7월 8일 (화) 08:18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8월 3일 (일) 20:05 (UTC)
이 두 낱말로 된 표현은 잘못 표기의 대상으로 취급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잘못 표기는 주로 잘못된 맞춤법에 한정합니다. --아흔(A-heun) 2008년 7월 22일 (화) 20:37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8월 3일 (일) 20:05 (UTC)
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出租車»를 중국어로 어떻게 읽는지는 모르지만 연변 한국계 사람들이 이를 정말 추즈차로 발음합니까? 구글에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만 있는 것으로 검색됩니다. --아흔(A-heun) 2008년 8월 9일 (토) 15:01 (UTC)
- 위의 링크에서 찾아지지 않습니다. 아마 사용자:Russ께서 낱말을 어디서 잘못 보신 것 같군요. 어디서 한 번이라도 쓰이고 있는 낱말이라면 구글 검색에서 찾아지는데 이 말은 그렇지 않군요. --아흔(A-heun) 2008년 8월 11일 (월) 11:20 (UTC)
- 결국 삭제토론까지 가게 되었네요. 일단 찾아도 없으니 없는 단어인것 같습니다. 삭제시킵시다. --Russ 2008년 8월 11일 (월) 13:23 (UTC)
- delete --아흔(A-heun) 2008년 8월 15일 (금) 09:22 (UTC)
위의 낱말 가운데 어느 것이 북한에서 쓰는 말입니까? 하나는 사라져야 할 것 같군요. --아흔(A-heun) (토론) 2008년 8월 24일 (일) 18:52 (UTC)
- 조선일보에선 파푸아뉴기니아, 위키백과에선 파푸아뉴기네아라고 쓰이네요. 일단 그러면 파푸아뉴기네아로 통일시킵시다. 아무래도 "캐스트레스"처럼 쓰이는 것 같습니다. 파푸아뉴기네아쪽이 북한에서 자주 쓰이는 말인 것 같고요. --Russ (토론) 2008년 8월 25일 (월) 01:08 (UTC)
완료 --아흔(A-heun) (토론) 2008년 9월 12일 (금) 01:07 (UTC)
- 어떤 낱말이 자주 혼돈되고 잘못 표기되고 있다면 잘못 표기로 여기에 수록하는 것을 누가 말리지 않습니다. (참조: 위키낱말사전:표제어 선정하기).
한가지 참여자께서 쓰는 낱말 가운데 '생성'이라는 말은 '무엇이 생겨난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엇을 만들어 낸다'라는 뜻으로 문서 생성이라는 말은 낱말 뜻에 어긋나는 표현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5월 13일 (목) 14:06 (UTC)
- 어떤 낱말이 자주 혼돈되고 잘못 표기되고 있다면 잘못 표기로 여기에 수록하는 것을 누가 말리지 않습니다. (참조: 위키낱말사전:표제어 선정하기).
- 한띄-만씨스크의 자치구라는 뜻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이 어떤 지명 뒤에 시, 구, 군, 동...을 줄줄이 붙여 낱말을 만들어 수록하는 것은 아무 뜻이 없을 뿐만 아니라 만들기 시작하면 끝도 없습니다. 이는 일본 지명의 경우 현, 시 ... 마찬가지입니다. 되도록 지명의 뿌리가 되는 낱말 만을 수록하도록 하세요. --아흔(A-heun) (토론) 2008년 8월 29일 (금) 21:21 (UTC)
- 그러면 지명과 지형에 관련된 것들은 일단 기준을 세워놓는 게 좋을 것 같군요. 한띄-만씨스크 자치구를 한띄-만씨스크와 통합시킵시다. --Russ (토론) 2008년 8월 30일 (토) 00:33 (UTC)
«한띄-만씨스크 자치구»는 한띄-만씨스크로 대신하므로 삭제. 넘겨주기 문서로 부적합.. --아흔(A-heun) (토론) 2008년 9월 12일 (금) 01:07 (UTC)
어느 낱말이 북한의 이른바 «문화어»의 표기입니까? 한 개는 사라져야 할 것 같군요. --아흔(A-heun) (토론) 2008년 9월 3일 (수) 01:57 (UTC)
완료 --아흔(A-heun) (토론) 2008년 9월 12일 (금) 01:07 (UTC)
Unangan tunguu (redirect -> unangan tunguu) 이 낱말이 정말 있는 것입니까? 구글에서 이곳에 밖에는 없는 것으로 찾아지고 있습니다. 확인하여 보세요. --아흔(A-heun)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08:04 (UTC)
- 확인해 봤는데, 일단 소문자쪽으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영어위키백과, 러시아어위키백과쪽에 있는 단어인데, 우선 대문자를 소문자로 교정했습니다. --Russ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16:09 (UTC)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27일 (금) 23:58 (UTC)
Унаңан туңуу (넘겨진 문서 < унаңан туңуу)
[편집]첫 글자가 대문자 아니면 소문자 표기가 맞는지 확인하세요. 찾기에서는 대소문자 표기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08:14 (UTC)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27일 (금) 23:58 (UTC)
'북경사람'은 사전에 수록되어질 성질의 낱말로 보이지 않는군요.
- 이 낱말은 복합어도 아니며 한국어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편의에 따라 두 낱말을 하나로 붙여 쓴 낱말입니다.
- 이와 같은 낱말이 사전에 수록될 수 있다면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모든 도시의 이름 뒤에 사람을 붙여 낱말을 수록해도 된다는 엉뚱한 주장이 생깁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2월 20일 (금) 14:22 (UTC)
- 그런가요? 대개 네이버나 다른 사전에서 북경인, 북경사람으로 풀이되어 있었어요. 그래서 제가 그쪽을 참고하고 만든건데 문제가 있는 것 같군요. 그러면 "북경인"이란 단어로 옮기면 어떻겠습니까?
- 제가 잠시 말해드릴게요. 북경사람이 두 낱말을 하나로 붙여 썼다고 했는데,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동경사람, 서울사람도 많이 쓰이고 있어요. 저도 자주 듣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런 것도 참고할 필요도 있습니다. --Russ (토론) 2009년 2월 20일 (금) 15:08 (UTC)
- 다시 말합니다. 위의 낱말은 사전에 수록될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또한 한자 접사 -인(人)을 도시 이름 뒤에 붙여 만든 낱말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나라 이름 뒤에 붙여 만든 그 나라 사람을 뜻하는 낱말은 예외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왜 그런지 이해 못하신다면 사용자께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지 의아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2월 20일 (금) 15:35 (UTC)
- 'Russ'라는 사용자가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기여를 열심히 하니까 '루스'라는 낱말을 수록하는 예외도 만들면 어떨까요? --아흔(A-heun) (토론) 2009년 2월 21일 (토) 08:27 (UTC)
- 제가 말한 것은 그런 뜻이 아닙니다. 무슨 루스라는 낱말을 수록하는 예외를 만들어요? 제 말은 서울사람, 동경사람, 북경사람은 예외처리로 해두자는 것입니다. 제 의견은 이렇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도시 이름 -사람/인"인데, 서울, 동경, 북경으로 된 것들은 예외로 해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실이나 인터넷에선 사람들이 무슨 도시 + 사람/인을 많이 쓰고 있어요. 그래서 예외로 처리할 것들은 예외로 처리해두는 게 나을지도 모릅니다(다만 여기에 있는 것도 토론이 더 필요할지도 모르겠네요). 가끔 가다가 사람들이 지명 + 사람/인을 쓰는 것같은데, 우선 그것도 참고할 필요도 있습니다(가령 유타주 + 사람을 해서 유타사람으로 한다는 것, 위키백과에서 제목명에 "나는 베를린사람입니다"라고 한 것 등). --Russ (토론) 2009년 2월 21일 (토) 10:25 (UTC)
- 삭제: 이와 같은 표제어는 낱말사전에 수록되어서는 안될 것으로 판단 --아흔(A-heun) (토론) 2009년 9월 16일 (수) 05:04 (UTC)
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도대체, 이 단어가 어디에서 쓰이나요? 출처가 필요한 단어인 듯 합니다.Nichetas (토론) 2009년 3월 18일 (수) 10:58 (UTC)
이 낱말은 여러 참여자가 의아해 하고 있는 것 같군요. 구글에서 찾아지는 것도 아주 미비합니다. 더이상의 불필요한 토론을 방지하고 그리고 출처가 불분명한 이 낱말을 작성한 사람으로서 없는 낱말로 간주하여 삭제 대상에 넣겠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18일 (수) 11:58 (UTC)
대한민국을 풀이한 낱말로 이해될 수 있지만 없는 낱말.(참조: 사용자토론:아흔#대한한국의 이름)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18일 (수) 12:02 (UTC)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27일 (금) 23:58 (UTC)
(아마) 이 낱말은 첫 글자를 소문자로 쓰는 것이 올바른 것 같습니다 (참조: 토론:Македонски) 아흔(A-heun) (토론) 2009년 5월 10일 (일) 08:06 (UTC)
삭제 --아흔(A-heun) (토론) 2009년 5월 13일 (수) 11:34 (UTC)
검토 요망
[편집]Kirêkaranî/karkerên dinya/cîhanê yekgirin/hevgirin: 낱말 사이에 슬래쉬가 붙습니까?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9월 16일 (수) 05:04 (UTC)
Politischer Gefangener : 이 말은 낱말사전에 수록될 성질의 낱말이 아닌 것 같습니다. (독일어의 격변화 때문에)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9월 16일 (수) 05:04 (UTC)
- cry like a baby : 이 구절은 관용구로 취급하기에는 너무 평범한 표현 같습니다.
- hub of the universe : 이 관용구의 뜻을 다시 확인 바랍니다.
- 아흔(A-heun) (토론) 2009년 5월 18일 (월) 15:30 (UTC)
- 슬래시가 붙은 것들은 떼어내서 만들면 될 것같지만, 찾아보니깐 없는 것 같습니다. 일단 영어쪽을 다시 참고해서 만들겠습니다.
- 아까 영어쪽을 참고해서 다시 단어를 만들었고, 슬래시가 붙은 것은 삭제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 삭제 요청시켰습니다.
- 영어쪽을 참고해서 만든 건데,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계속 검토할 필요성이 있는데, 독어 위키쪽을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 독어 위키백과를 참고했는데, Ein politischer Gefangener라고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이쪽 참고 -> [5]
- 너무 평범하면 삭제시켜서, cry에 그 예문을 추가시키겠습니다.
- 아까 cry에 cry like a baby를 추가했습니다.
- 영어사전을 확인했는데, the hub of the universe라고 해서 "우주의 중심"이라고 풀이되어 있습니다. --Russ (토론) 2009년 5월 18일 (월) 15:45 (UTC)
- 슬래시가 붙은 것들은 떼어내서 만들면 될 것같지만, 찾아보니깐 없는 것 같습니다. 일단 영어쪽을 다시 참고해서 만들겠습니다.
콩고인민공화국이 계속 여기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것도 출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Russ (토론) 2009년 5월 18일 (월) 16:08 (UTC)
- 한국에서 콩고로 현재 불리워지는 나라 이름은 1960 - 1992년까지 콩고인민공화국 «La république populaire du Congo» (영어 이름: The People's Republic of Congo)이었다고 합니다. 이 나라의 오늘날 공식 명칭은 «République du Congo (Republic of Congo)»인데, 이는 마치 오늘날 대한민국의 공식 영어 이름 «Republic of Korea»을 간단히 «한국»이라 줄여 부르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5월 18일 (월) 23:38 (UTC)
깔깔이
[편집]이 낱말은 다른 뜻을 갖고 있는 것 같군요. 다시 확인하여 낱말 풀이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8월 26일 (수) 13:04 (UTC)
delete --아흔(A-heun) (토론) 2009년 9월 16일 (수) 05:04 (UTC)
Emperror
[편집]아.. 대문자로 수록을 했군요.. 문법 또 틀렸네요.. 삭제하셔도 되는데.. --병맛빵 (토론) 2009년 9월 11일 (금) 06:28 (UTC)
삭제: 틀린 철자 --아흔(A-heun) (토론) 2009년 9월 16일 (수) 05:04 (UTC)
리드자
[편집]"부적절한 단어, 은어"라는 이유로 삭제 하셨다고 봤습니다. 둘러보니 속어 카테고리에는 정말 민망한 말들도 많던데요, 은어는 특정계층 사이에서만 쓰이는 단어라서 삭제하셨는지요. 이를테면 "리드자"라는 단어는 공중파방송에서도 박재범군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삭제이유를 듣고싶습니다. Whycant(토론) 사용자가 2009년 11월 4일 (수) 06:54 (토)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이후에 추가하였음.
- "부적절한 단어"라는 말은 아마 낱말사전의 표제어로서 부적절하다는 뜻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문제의 말은 은어는 아닌 것 같으며, 굳이 말하자면 지어낸 말(조어)에 속할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말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만들어 쓸 수 있습니다. 특히 요사이 영어 + 한글 (또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신조어는 대단히 많지만 그런 낱말들이 모두 낱말사전에 표제어로 수록될 수는 없습니다.
- 속어의 경우 참여자께서 아마 수록된 욕 (비어)를 확인하시고 말씀한 것 같습니다. 욕은 조어와는 달리 특정 계층 뿐만 아니라 사회에 널리 알려져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뿌리가 깊은 토박이말입니다. 단지 이런 낱말이 사회에서 상스러운 낱말로 여겨지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하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11월 5일 (목) 03:53 (UTC)
기상화일
[편집]제 소견을 사용자 페이지 토론에 올렸습니다.
검토하시고 최선의 방법으로 결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상인 (토론) 2010년 1월 11일 (월) 16:44 (UTC)
- 삭제 보류: 참조 User talk:기상인#그림 파일의 저작권 문제 --아흔(A-heun) (토론) 2010년 1월 31일 (일) 01:04 (UTC)
설렌타인데이
[편집]이 낱말은 몇몇 한국인이 심심풀이로 지어낸 낱말로서 의미도 없을 뿐더러 일시적인 유행어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15일 (월) 15:05 (UTC)
- 그래도 그 말이 신문등에서 쓰일 정도로 많이 쓰이고 뭐 정 삭제하라고 하겠다면 전 하겠습니다. 남겨주세요.[ho949494 의 IP입니다,.] --121.189.88.191 2010년 2월 16일 (화) 12:51 (UTC)
- 일시적 유행어나 신조어 등을 낱말사전에 표제어로 수록하는 일은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가령 '얼짱'이라는 유행어는 요사이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행하고 있는 낱말이지만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이 낱말의 수록을 놓고 문제를 삼고 있기도 합니다. 지금 문제의 낱말은 올해 설날과 발렌타인데이가 우연히 같은 날이었던 까닭으로 아마 네티즌이 만든 낱말로 여겨집니다. 이런 날의 명칭을 낱말사전에 수록하는 것이 과연 뜻이 있을까요?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16일 (화) 14:26 (UTC)
- 그래도 여기서는 욕이나 신조어도 올라올만큼 참 자유적인데요. 국립국어연구원에는 표준어를 실어야 하기때문에 힘든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단어를 위키백과에서 올린적이 있는데 단어는 문제가 없는데 백과사전의 형식으로 만들라고 하네요. 이거는 제생각에는 그냥 일반 신조어를 올리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정 삭제하라고 하니 삭제하겠습니다. --121.189.88.191 2010년 2월 17일 (수) 10:49 (UTC)
- 현재 수록된 한국어 낱말이 대단히 미흡합니다. 시간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표준어를 중심으로 편집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17일 (수) 11:46 (UTC)
- 삭제: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20일 (토) 14:49 (UTC)
나우리
[편집]- 참조: 사용자토론:Nauri#신조어 --아흔(A-heun) (토론) 2010년 3월 18일 (목) 23:03 (UTC)
- 신조어이지만 이미 사이트나 사명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어 그 뜻을 알리고 싶었습니다. 국어사전에도 순 우리말이 아닌 순화된 외래어가 들어와 출판되고 있는 시점에서, 출판엔 무리가 있더라도 인터넷에선 그 뜻을 제대로 알려 사용하게 해야 된다고 봅니다. 사회에서 사용되는 신조어, 합섭어는 위키낱말사전에서 만큼은 편하게 등록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낱말의 분류를 "명사"만으로 표기를 할것이 아니라 "명사(신조어)"라 구분하면 되리라 봅니다. (Nauri (토론) 2010년 3월 19일 (금) 07:11 (UTC))
- 참여자께서 무엇을 대단히 착각하고 계십니다. 있지 않은 어떤 낱말을 만들어 쓰는 것은 개인의 자유입니다. 그리고 그런 낱말이 더러 여기저기에 쓰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그런 낱말이 있다고 하여서 무조건 낱말사전에 표제어로 수록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낱말사전은 개인의 메모장이 아닙니다 (위키낱말사전:낱말사전에서 착각하는 점). 그리고 이곳에 수록되는 낱말은 곧 전자매체를 통한 출판을 의미합니다. 참여자가 착각하고 있는 다른 점은 있지 않은 낱말을 그것도 그 뜻을 누구에게 알린다는 말입니까? 참여자가 낱말을 만들어 전파하는 사람입니까? 어디에서 그런 권리와 자격을 부여 받았습니까?
- 참고로 문제의 낱말은 현재 (2010년 3월 19일) 구글 검색에서 42.900건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낱말 사용 사이트는 236개 입니다 (비교: 신조어 '안습'의 경우는 1.380.000건). 문제의 낱말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라고 주장할 수 없는 아주 미약한 검색 결과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3월 19일 (금) 09:37 (UTC)
- 님께서 예로 드신 "안습"이 훨씬 더 검색수가 많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45,000건 이상이 검색이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제 개인만이 쓰는 단어가 아니라는 뜻이죠. 국어사전이 왜 두꺼워 지는지 아십니까? 그리고 역사가 가면서 단어가 왜 분리되는지 아십니까? 님의 말씀대로라면 국어사전에는 비슷한 말과 같은 말이 존재합니다. 왜 공존하고 있을까요?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 말입니다. 제가 여기에 단어를 등록하는 것은 종이출판의 한계성 때문에 이곳에 등록시키는 것입니다. 전자출판 맞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또 누군가가 사용한다면 그 뜻을 알고 쓰게 하기 위해서죠. 제가 착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뜻을 잘 알기에 등록한 것입니다. 국어사전에 외래어라 해서 외국어가 한국어 음으로 등록됩니다. 왜 일까요? 누군가가 우리나라에 없는 단어를 가져와서 처음 사용한 사람이 있고 쓰이기에 등록된 것 입니다. 국어 사전에 등록된 단어만을 허용한다면 왜 낱말등록이라는 항목을 위키낱말사전은 만들어 놨나요? 각국의 사전을 그대로 옮겨 놓으면 될텐데 말입니다. 님? 제가 왜 이곳에 이런 시간을 들이고 있을까요? 전 위키낱말사전이 발전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남기고 있습니다. (Nauri (토론) 2010년 3월 19일 (금) 11:50 (UTC))
-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였습니다. 외래어, 특히 영어에서 온 외래어 남용의 문제가 오늘날 한국에서 심각하다는 점과 새로운 한글 낱말을 생각해 내는 일이 절실하다는 점에는 참여자와 의견을 같이 합니다. 그러나 유행어나 신조어를 낱말사전에 표제어로 수록하는 문제는 쉽게 처리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있는 낱말을 수록하는 것이 낱말사전의 기본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참여자의 토론 페이지에서 이미 암시하였듯이 이와 같은 신조어를 이곳에 굳이 수록하고자 원하다면 위키낱말사전:미주알고주알이라는 별도의 페이지에서 이 낱말의 뜻과 필요성 따위를 적어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방법을 모색하십시오. 네임스페이스 미주알고주알은 바로 이와 같은 문제를 수록하기 위한 곳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3월 19일 (금) 12:21 (UTC)
- 삭제 → 참조 미주알고주알:나우리 --아흔(A-heun) (토론) 2010년 3월 26일 (금) 06:39 (UTC)
[6]을 보면 선데이가 실제로 혼동을 막기 위해 선데이 아이스크림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Betalphβα 2010년 5월 13일 (목) 12:00 (UTC)
- 참여자께서는 있는 낱말과 지어낸 낱말을 혼동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상품 이름은 지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hamburger'와 같은 낱말은 처음에 지어낸 말이지만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언어 사회에 뿌리가 내렸으며 모든 영어 사전에 수록될 수 있었습니다. 이 절차는 언어 사용자가 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연구를 하는 특정 기관에서 하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 국립국어연구원). 지금 문제의 낱말이 조금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하여서 낱말사전에 수록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모든 상품 이름이 낱말 사전에 수록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됩니다. 그리고 영어 위키백과에 문제의 낱말이 수록되었다는 사실은 단지 백과사전이 가진 특성 (지식과 정보의 제공) 때문입니다. 문제의 낱말은 유행어나 신조어의 카테고리에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5월 13일 (목) 14:20 (UTC)
- 'hamburger'는 예로 든 것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5월 19일 (수) 09:59 (UTC)
완료 삭제 --아흔(A-heun) (토론) 2010년 5월 29일 (토) 12:53 (UTC)
троика
[편집]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Please delete this redirect, it's incorrect. --Atitarev (토론) 2010년 5월 29일 (토) 10:06 (UTC)
Ok, I'll do it. --Russ (토론) 2010년 5월 29일 (토) 11:23 (UTC)
완료 deleted --아흔(A-heun) (토론) 2010년 5월 29일 (토) 12:52 (UTC)
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see 토론:sismo
deleted --아흔(A-heun) (토론) 2010년 7월 9일 (금) 14:33 (UTC)
discussion on Bosnian Arabic words
[편집]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Please remove all entries in Arabian alphabet. Bosnian language does not use it.}}
Here is the list 83.20.161.184(토론) 사용자가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이후에 추가하였음.
- I consulted in en.wikipedia's Arabic alphabet. According en wikipedia's Arabic alphabet, Bosnian language was used Arabic alphabet and written in Arabic alphabet. --Russ (토론) 2011년 2월 26일 (토) 02:30 (UTC)
- But there is arebica - Arabic script adjusted to write Slavic speech, also chiefly used by Bosniak nobility during the Ottoman era.. And you have words like TV-set. Several hundred years ago maybe yes, but in contemporary Bosnian language there is no Arabic script. About the rest of these words: where have you taken them from? Have you any sources? In all wikis if there are any doubts we are looking for sources and if something if unverifiable it is removed.
- Although in contemporary Bosnian language was used in Arabic alphabet, Arebica was one of Bosnian alphabet. And I consulted in en wikipedia's Alphabet. And I can't remove, because it was historical alphabet. --Russ (토론) 2011년 2월 27일 (일) 03:15 (UTC)
- If it is historical alphabet, it should be noticed it, but first of all: where have you taken them from? I'am especially interested in how do you know that in these historical times several hundred years ago there was word تهلهویزۉر and it meant TV-set?
- Although in contemporary Bosnian language was used in Arabic alphabet, Arebica was one of Bosnian alphabet. And I consulted in en wikipedia's Alphabet. And I can't remove, because it was historical alphabet. --Russ (토론) 2011년 2월 27일 (일) 03:15 (UTC)
- Actually I consulted in de.wiktionary or af.wiktionary. In de.wiktionary/afwiktionary Bosnian language had a Arabic alphabet. Especially af.wiktionary have a Polish Arabic article and Bosnian Arabic article. So I'm consulted in af.wiktionary/de.wiktionary/en.wikipedia's Arabic alphabet. --Russ (토론) 2011년 2월 27일 (일) 22:57 (UTC)
- But there is arebica - Arabic script adjusted to write Slavic speech, also chiefly used by Bosniak nobility during the Ottoman era.. And you have words like TV-set. Several hundred years ago maybe yes, but in contemporary Bosnian language there is no Arabic script. About the rest of these words: where have you taken them from? Have you any sources? In all wikis if there are any doubts we are looking for sources and if something if unverifiable it is removed.
discussion on Polish Arabic words
[편집]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Sorry, guys, but it's not Polish. Wrong alphabet. It's likely to be Arabic.
The same problem is with:
- ابطقا 1 (ko)
- اصطرونوما 1 (ko)
- اصلانديا 1 (ko)
- اقوصصطم 1 (ko)
- اٰفْرِقٰا 1 (ko)
- اٰقُپُنْقْطُورٰا 1 (ko)
- برات 1 (ko)
- حدیث 1 (ko)
- زما 1 (ko)
- سوصطرا 1 (ko)
- طاق 1 (ko)
- طلفون 1 (ko)
- طلقو 1 (ko)
- طلماچن 1 (ko)
- عابطقا 1 (ko)
- عاصطرونوما 1 (ko)
- عصلانديا 1 (ko)
- عٰافْرِقٰا 1 (ko)
- عٰاقُپُنْقْطُورٰا 1 (ko)
- قومپوطر 1 (ko)
- لو 1 (ko)
- مالژونق 1 (ko)
- موڭژ 1 (ko)
- ولق 1 (ko)
- يوژ 1 (ko)
- پشقلاد 1 (ko)
- پوو 1 (ko)
- پْيَونْتَقْ 1 (ko)
Olaf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01:27 (UTC)
- Actually I consulted in en.wikipedia's Arabic Alphabet and Belarusian Arabic letter. According to en.wikipedia, Polish Tatar was spoken Polish, but his Polish wrote in Arabic Alphabet. --Russ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05:07 (UTC)
- They may have written Polish in Arabic letters, I don't know. Still it's neither the standard Polish script nor an accepted alternative ortography, it's just a private transliteration done for somebody's convenience. Moreover, I wonder, how do you know, which Arabic letter corresponds to a particular Latin script letter or diacritic sign used in Polish? For example in پْيَونْتَقْ (piątek) you use letter ق (q) instead of ك (k). Why? Is it your Original Research or are there any sources, asserting that Polish Tatars have written piątek in this way? Olaf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3:59 (UTC)
- Hmm...Actually پْيَونْتَقْ was consulted in af.wiktionary. According to af.wiktionary, piątek written in پْيَونْتَقْ. So I thought that piątek is پْيَونْتَقْ. Maybe af.wiktionary's پْيَونْتَقْ is unknown word... --Russ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4:42 (UTC)
- Well, do people from South Africa know anything about a way of Arabic transliteration done by Polish Tatars? There are many possible transliterations between these alphabets, you should ask a Tatar to know the right one.
- Why is this kind of transliteration included as a separate wiktionary entry, if it is not an official alternative script used in Poland, and is unlikely to be found anywhere? One may write Polish in Korean alphabet, if one wishes, but it doesn't constitute a valid Polish entry in a dictionary. It may be even misleading, because one may think, Polish is being written in this way. Olaf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5:07 (UTC)
- According to this book, Polish Tatars used Arabic script to write Polish texts in 14th and 15th century, that is over 500 years ago. But there were no drugstores (ابطقا) 500 years ago, no telephones (طلفون), no computers (قومپوطر) and nobody have heard about ecosystems (اقوصصطم), so writing these words with Arabic letters is a kind of nonsense. Now the Arabic script is not used to write Polish at all. Believe me, I come from Warsaw, the capital of Poland. Olaf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6:24 (UTC)
- Hmm...I thinking that is not easy problem...It's similar 샤오얼징. 샤오얼징 is Chinese Arabic Alphabet, but 샤오얼징 was used by Chinese Muslim and unofficial letter. But I'll consulted in 샤오얼징 or Хуэйзў. In ko.wiktionary Хуэйзў is written in Arabic Alphabet, too, but not created حُوِ ذَو. --Russ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04:06 (UTC)
- First, let me say, I really appreciate the effort you put in the transliterations of Polish. Yet, the Arabic script is NOT used with contemporary Polish, even by Polish Tatars (compare the script used on their homepage: [8]). The transliterations are in some cases wrong (like this computer, telephone, etc.), because nobody applied Arabic script to these words 500 years ago. In some cases they are dubious (piątek). In all cases the transliterations are pure Original Research, forbidden on Wikimedia projects. They cannot be verified, because we don't know, how the words were originally transliterated by Tatars. Existence of these pages is misleading, because they suggest, that Arabic script is in use in contemporary Poland. So the solution is simple - the pages with Polish written in Arabic alphabet should be deleted. The corresponding "아랍 문자 표기" sections from the Polish entries should be removed as well. Olaf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14:57 (UTC)
- Hmm...I'll consulted in Хуэйзў. Хуэйзў is have a "아랍 문자 표기", but not created حُوِ ذَو. So I'll left "아랍 문자 표기" in some Polish word, although Polish Arabic word is removed. --Russ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22:14 (UTC)
- I don't know anything about Хуэйзў. But Arabic alphabet is not used in Polish. It was, by a small minority of Polish Tatars 500 years ago, but you can't be sure how it was transliterated. May be in case of Хуэйзў you can be sure, it was written in this way. But in case of Polish, you can't be sure, and you have no sources. Please, remove it, it's not Polish, it's your own artificial language. Olaf (토론) 2011년 2월 5일 (토) 18:14 (UTC)
- Hmm...I'll consulted in Хуэйзў. Хуэйзў is have a "아랍 문자 표기", but not created حُوِ ذَو. So I'll left "아랍 문자 표기" in some Polish word, although Polish Arabic word is removed. --Russ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22:14 (UTC)
- First, let me say, I really appreciate the effort you put in the transliterations of Polish. Yet, the Arabic script is NOT used with contemporary Polish, even by Polish Tatars (compare the script used on their homepage: [8]). The transliterations are in some cases wrong (like this computer, telephone, etc.), because nobody applied Arabic script to these words 500 years ago. In some cases they are dubious (piątek). In all cases the transliterations are pure Original Research, forbidden on Wikimedia projects. They cannot be verified, because we don't know, how the words were originally transliterated by Tatars. Existence of these pages is misleading, because they suggest, that Arabic script is in use in contemporary Poland. So the solution is simple - the pages with Polish written in Arabic alphabet should be deleted. The corresponding "아랍 문자 표기" sections from the Polish entries should be removed as well. Olaf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14:57 (UTC)
- Hmm...I thinking that is not easy problem...It's similar 샤오얼징. 샤오얼징 is Chinese Arabic Alphabet, but 샤오얼징 was used by Chinese Muslim and unofficial letter. But I'll consulted in 샤오얼징 or Хуэйзў. In ko.wiktionary Хуэйзў is written in Arabic Alphabet, too, but not created حُوِ ذَو. --Russ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04:06 (UTC)
- Hmm...Actually پْيَونْتَقْ was consulted in af.wiktionary. According to af.wiktionary, piątek written in پْيَونْتَقْ. So I thought that piątek is پْيَونْتَقْ. Maybe af.wiktionary's پْيَونْتَقْ is unknown word... --Russ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4:42 (UTC)
- They may have written Polish in Arabic letters, I don't know. Still it's neither the standard Polish script nor an accepted alternative ortography, it's just a private transliteration done for somebody's convenience. Moreover, I wonder, how do you know, which Arabic letter corresponds to a particular Latin script letter or diacritic sign used in Polish? For example in پْيَونْتَقْ (piątek) you use letter ق (q) instead of ك (k). Why? Is it your Original Research or are there any sources, asserting that Polish Tatars have written piątek in this way? Olaf (토론) 2011년 2월 3일 (목) 13:59 (UTC)
hидрожен
[편집]이 낱말에는 로마자와 키릴 문자가 섞여 있습니다. 검토 바랍니다. --아흔(A-heun) (토론) 2011년 11월 11일 (금) 08:15 (UTC)
- 예전에 영어위백을 참고했을때, 쿠르드어가 로마자와 아랍문자를 사용하지만, 구소련권에선 키릴문자를 사용한다는것을 보았어요. 그래서 영어위백을 참고했어요. --Russ (토론) 2011년 11월 11일 (금) 13:26 (UTC)
- 문제는 해당 낱말의 철자를 두 가지 문자로 섞어서 썼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아마 드물지요. 그리고 외부 검색에서 이 낱말은 여기에서 밖에는 찾아지지 않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1년 11월 27일 (일) 01:55 (UTC)
- 완료 삭제! --아흔(A-heun) (토론) 2011년 12월 2일 (금) 06:27 (UTC)
제가 우니쉬를 편집하다 보니까 카테고리가 우니시로 되어있네요.... 우니쉬로 고칠수없는걸까요? 원래 우니쉬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데 방법이 삭제하고 우니쉬로 고칠 방법이 있을까요? --UNISH (토론) 2012년 2월 17일 (금) 05:46 (UTC)
- 사용자께서는 우니시라는 이름을 가진 인공어를 편집하고 있는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이제 와서 그 이름이 바르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몹시 무책임한 말입니다. 그 언어의 정확한 이름을 증명하는 근거를 제시하십시오. 내가 확인한 바로는 그 이름은 표준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언어 이름을 바꾸는 일 자체는 사용자께서 이미 몇몇 실행에 옮긴 것처럼 아주 간단합니다. 단지 그 이름의 카테고리를 같이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는 점도 염두에 두십시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18일 (토) 19:49 (UTC)
- 발음상의 문제때문에 제가 혼동이 있었던거 같습니다. 정확한 이름을 증명하는 근거는 어디에, 어떻게 제시하면 될까요? ,, 카테고리를 같이 바꾸는 것은 단어를 일일이 바꿔야 한다는 말씀이신지요? 아니면 카테고리의 이름을 바꾸면 된다는 말씀이신지요? --UNISH (토론) 2012년 2월 20일 (월) 01:48 (UTC)
- 근거는 여기에 제시하십시오. 카테고리 이름을 바꾸는 일은 나중의 일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립니다. 누가 나중에 나타나서 바꾼 이름이 틀렸다고 주장하며 또 바꾸자고 우기는 비생산적이고 불미스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20일 (월) 19:04 (UTC)
-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Unish 언어에서 철자 sh는 영어의 she에서 나타나는 발음과 동일하여 [쉬]로 발음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 발음 자체가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다보니 한국어로 표기시 "우니쉬"와 "우니시"가 혼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위키낱말사전 자료에도 올리는 과정 중에 혼동이 있었음을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우니쉬"로 통일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추후에는 명칭에 대한 혼란이 없도록 주의하겠습니다. 아울러 "우니쉬"가 공식명칭임은 우니쉬를 만든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에서 확인한 것이므로 추후에 다시 "우니시"로 변경할 일은 없음을 분명히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NISH (토론) 2012년 2월 21일 (화) 01:52 (UTC)
- 1. 영어 -sh는 [ʃ]로 발음됩니다. 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문제인데, 우선 통일성이라는 대원칙을 앞세우는 국어연구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sh는 무조건 [시]로 표기하도록 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sh로 끝나는 낱말은 대부분 아마 [쉬]로 발음되는 것으로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가령 한국 사람은 'English'를 '잉글리시'로 표기하기보다는 '잉글리쉬'로 더 많이 표기할 것입니다 (구글 검색 참조). 이런 문제 때문에 예전에 Yiddish라는 언어 이름을 '이디시어'로 아니면 '이디쉬어'로 표기할 것인지에 관해서 토론이 있었습니다 (언어 이름). 그 결과는 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것으로 합의되었다는 점을 참고 삼아 알려드립니다.
2. 구글 검색에서 'Unish'의 경우도 '우니쉬'와 '우니시'가 동시에 쓰여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이 언어를 보급하였던 홈페이지(http://www.unish.org)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거기서 어떤 표기를 공식적으로 쓰고 있는지 확인할 길이 없었다는 점도 아울러 말씀드립니다. 번거롭더라도 다시 한번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에서 쓰고 있는 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여기에 붙여 주십시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21일 (화) 22:31 (UTC)-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홈페이지는 우니쉬 자료 홍보를 위해 개편 중이며, 2월 말에 재개통할 예정입니다. 영어와 한국어 version으로 우니쉬 자료를 담고 있는데, 한국어 판 자료에서는 모두 '우니쉬'로 통일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가 재개통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링크를 붙여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방식의 증명 방법이 있을까요? --UNISH (토론) 2012년 2월 23일 (목) 00:59 (UTC)
- 우니시/쉬 이름이 표준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언어를 만든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어떤 명칭을 쓰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25일 (토) 13:09 (UTC)
-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홈페이지가 우니쉬 자료를 업데이트 하면서 재개편되었습니다. 우니쉬 홈페이지 주소는 http://www.unish.org 이며, 한글판에서 우니쉬를 소개하는 탭에서 Unish의 표기를 우니쉬로 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우니시/쉬의 명칭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니시/쉬 이름의 본의 아니게 혼동을 드려 죄송하게 되었고, 우니쉬로 확인될 경우 이후의 조취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NISH (토론) 2012년 3월 30일 (금) 07:43 (UTC)
- 홈페이지에서 표기를 확인하였습니다. 사용자께서는 앞으로 새 낱말을 수록할 때, 언어 템플릿 {{우니시}} 대신 우니쉬를 써야 합니다. 우니쉬 관련 카테고리들은 봇을 이용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바꾸겠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30일 (금) 13:18 (UTC)
-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홈페이지가 우니쉬 자료를 업데이트 하면서 재개편되었습니다. 우니쉬 홈페이지 주소는 http://www.unish.org 이며, 한글판에서 우니쉬를 소개하는 탭에서 Unish의 표기를 우니쉬로 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우니시/쉬의 명칭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니시/쉬 이름의 본의 아니게 혼동을 드려 죄송하게 되었고, 우니쉬로 확인될 경우 이후의 조취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NISH (토론) 2012년 3월 30일 (금) 07:43 (UTC)
- 우니시/쉬 이름이 표준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언어를 만든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어떤 명칭을 쓰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25일 (토) 13:09 (UTC)
-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홈페이지는 우니쉬 자료 홍보를 위해 개편 중이며, 2월 말에 재개통할 예정입니다. 영어와 한국어 version으로 우니쉬 자료를 담고 있는데, 한국어 판 자료에서는 모두 '우니쉬'로 통일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가 재개통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링크를 붙여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방식의 증명 방법이 있을까요? --UNISH (토론) 2012년 2월 23일 (목) 00:59 (UTC)
- 1. 영어 -sh는 [ʃ]로 발음됩니다. 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문제인데, 우선 통일성이라는 대원칙을 앞세우는 국어연구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sh는 무조건 [시]로 표기하도록 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sh로 끝나는 낱말은 대부분 아마 [쉬]로 발음되는 것으로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가령 한국 사람은 'English'를 '잉글리시'로 표기하기보다는 '잉글리쉬'로 더 많이 표기할 것입니다 (구글 검색 참조). 이런 문제 때문에 예전에 Yiddish라는 언어 이름을 '이디시어'로 아니면 '이디쉬어'로 표기할 것인지에 관해서 토론이 있었습니다 (언어 이름). 그 결과는 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것으로 합의되었다는 점을 참고 삼아 알려드립니다.
-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Unish 언어에서 철자 sh는 영어의 she에서 나타나는 발음과 동일하여 [쉬]로 발음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 발음 자체가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다보니 한국어로 표기시 "우니쉬"와 "우니시"가 혼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위키낱말사전 자료에도 올리는 과정 중에 혼동이 있었음을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우니쉬"로 통일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추후에는 명칭에 대한 혼란이 없도록 주의하겠습니다. 아울러 "우니쉬"가 공식명칭임은 우니쉬를 만든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에서 확인한 것이므로 추후에 다시 "우니시"로 변경할 일은 없음을 분명히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NISH (토론) 2012년 2월 21일 (화) 01:52 (UTC)
- 근거는 여기에 제시하십시오. 카테고리 이름을 바꾸는 일은 나중의 일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립니다. 누가 나중에 나타나서 바꾼 이름이 틀렸다고 주장하며 또 바꾸자고 우기는 비생산적이고 불미스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아흔(A-heun) (토론) 2012년 2월 20일 (월) 19:04 (UTC)
- 발음상의 문제때문에 제가 혼동이 있었던거 같습니다. 정확한 이름을 증명하는 근거는 어디에, 어떻게 제시하면 될까요? ,, 카테고리를 같이 바꾸는 것은 단어를 일일이 바꿔야 한다는 말씀이신지요? 아니면 카테고리의 이름을 바꾸면 된다는 말씀이신지요? --UNISH (토론) 2012년 2월 20일 (월) 01:48 (UTC)
Misspelling of Aleut words
[편집]이 토론은 이 문단은 해당 페이지에서 의견을 이어가주세요. |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1일 (목) 00:20 (UTC)
It is the same as chur-ko. This word is not an Aleut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1일 (목) 06:32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4일 (일) 12:57 (UTC)
It is the same as chur-ko. From "expert" on french Wiktionary, this word could be a deformation of the Alutiiq word yaqsegtuq but it is far. From him, it is not an Aleut word, nor an Alutiiq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1일 (목) 16:19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4일 (일) 12:57 (UTC)
Same thing for malt-jiska. It is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Russian word мальчик. Pamputt (토론) 2012년 3월 1일 (목) 16:22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4일 (일) 12:57 (UTC)
Same as above. This is the phoetic transcription of Alutiiq word nasquq. It is not an Aleut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2일 (금) 18:31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4일 (일) 12:57 (UTC)
Same as above. This is neither an Aleut word nor Aluti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3월 6일 (화) 07:08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11일 (일) 16:44 (UTC)
Same as above. This is a phonetic transcription of Alutiiq word gelipaq. Pamputt (토론) 2012년 3월 7일 (수) 14:07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11일 (일) 16:44 (UTC)
Same as above. It is a phonetic transcription of Russian word много. It is not an Aleut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8일 (목) 16:16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11일 (일) 16:44 (UTC)
Same as above. It is a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Russiance word мука. It is not an Aleut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10일 (토) 22:41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11일 (일) 16:44 (UTC)
Same as above. There is not any vowel "e" in Aleut. Anchor is yaakara in Aleut, kicaq in Alutiiq and якорь in Russian. Pamputt (토론) 2012년 3월 15일 (목) 14:49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30일 (금) 13:10 (UTC)
Same as above. "sh" and "e" do not exist in Aleut. Maybe from Russian охота. It is not an Aleeut word. Pamputt (토론) 2012년 3월 20일 (화) 07:23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3월 30일 (금) 13:10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2일 (월) 17:17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4월 19일 (목) 18:58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5일 (목) 16:35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4월 19일 (목) 18:58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12일 (목) 15:01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4월 19일 (목) 18:58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20일 (금) 16:01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21일 (토) 22:05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21일 (토) 22:07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4월 29일 (일) 18:52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5월 4일 (금) 08:52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5월 4일 (금) 08:52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18:5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5월 7일 (월) 21:07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2:27 (UTC)
It was a mistake on French Wiktionary. Only abaza exists in French. If you understand the French, you can read this discussion. Pamputt (토론) 2012년 6월 1일 (금) 09:49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7월 3일 (화) 22:2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6월 25일 (월) 06:30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7월 3일 (화) 22:2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either an Alutt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6월 25일 (월) 06:30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7월 3일 (화) 22:23 (UTC)
Same as above. The Aleut word meaning « water » is taangax̂. Pamputt (토론) 2012년 7월 1일 (일) 08:21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7월 3일 (화) 22:23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or an Aluti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7월 20일 (금) 06:40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9월 29일 (토) 18:51 (UTC)
Same as above. It is not an Aleut word nor an Alutiiq one. Pamputt (토론) 2012년 10월 21일 (일) 07:55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3년 1월 13일 (일) 22:45 (UTC)
실제 존재하는 한국어 낱말인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는 단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등 여러 온라인 한국어 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은 단어이고, '새녘'의 쓰임과 뜻에 대해서는 여러 누리꾼들이 올리고 이용할 수 있는 네이버 오픈사전, 지식인에서 몇 건만이 검색될 뿐이네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15일 (수) 14:03 (UTC)
- delete --아흔(A-heun) (토론) 2012년 8월 17일 (금) 19:49 (UTC)
분류 국명(한국어), 지리(한국어) 삭제 요청
[편집]- 삭제 신청만 했더니 처리되지 않아 신청합니다.
- 삭제바랍니다. 뭉게구름 (토론) 2013년 7월 29일 (월) 17:58 (KST)
ساەت
[편집]hello, please delete this page ساەت, it has a spelling mistake, the correct word is سائەت. You could use this dictionary to verify http://lughet.yulghun.com/ Cheers, Hahahaha哈 (토론) 2014년 1월 19일 (일) 22:24 (KST)
- Ok, I'll accept your opinion(^^). --한일러 (토론) 2014년 1월 20일 (월) 00:1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