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스토킹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낱말사전, 말과 글의 누리

스토킹을 하는 것과 집적거리는 것은 전혀 다른 표현입니다.

[편집]

집적거리다: 말이나 행동으로 상대를 자꾸 건드려 성가시게 하다. 스토킹: 지속적인 범죄 행위, 각 죄 항목에 따른 처벌을 받음.


귀찮게 하는 건 예의의 문제고 범죄는 법률적인 책임을 지죠. 지속적인 범죄에 대한 공포감을 스토킹의 공포감으로 정의한 것입니다. 범죄는 호감이나 원한을 죄로 결정짓는데 주안점을 두지 않아요 오로지 객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행위를 따지죠. 쫓아다니는 건 추적입니다. 추적은 사생활 침해죠.

또, 원한을 가지고 복수를 하는 과정이 있을 수 있지만 상대에 대한 호감으로 연락을 거는 건 찝쩍대는 거지 스토킹이 아니에요. 여성들은 직설적으로 말을 못하고, 감성이 예민하니까 상대가 부담스런 관심을 쏟으면 그걸 공포감처럼 느끼게 되죠. 이성으로서든 동성으로서든 간에 생각을 해 봅시다. 상대에게 호감이 있으면 말을 걸어 대화를 시도하거나 마음을 담은 선물로 표현하려 하겠죠. 친한 친구에게 선물 줄 수 있고, 처음 만나는 학기초 애에게 말을 거는 것처럼요. 친구와의 교류 과정에서 사람들은 귀찮아 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교류 요청, 관심 표현이 스토킹입니까? 상대가 자신에게 주는 관심이 귀찮을 수 있어도요. 새벽에 전화거는 것, 평소에 과도한 메시지를 보내는 걸 어느 분들은 스토킹의 예시로 들더군요. 그것들은 동성간에도 친하게 지내고 싶지 않거나 기분,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그렇다면 누구나 짜증낼 일입니다. 그리고 예의는 사적 관계에서도 당연히 지켜야 될 것이고요. --어논 (토론) 2019년 3월 1일 (금) 15:59 (KST)답변

@어논: 내용에 대한 사견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해당 설명에 대한 근거는 무엇입니까? 작성하신 내용을 보니 국립국어원의 저작물을 짜깁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명확한 근거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Garam 논의 2019년 3월 2일 (토) 14:06 (KST)답변

http://cyberbureau.police.go.kr/mobile/sub/sub_07_c.jsp 이 외에는 제가 심리학책이나 법률 정보를 통해 얻어 낸 것들입니다. 우리.법에서도 공포감을 조성할 만하다고 판단 가능한 수단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어요. 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15:39 (KST)--답변

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stalking 1.the crime of illegally following and watching someone over a period of time. 누군가를 불법적으로 일정시간 지나치게 따라다니고 감시하는 범죄. 단어의 정의는 우선적으로 목록에 올리온 게 가장 근본적인 거 알죠?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16:15 (KST)--어논답변

@어논: 말의 요지를 이해하기 힘듭니다. ‘우리 법’의 ‘우리’가 말하는 대상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며, 더욱이 해당 내용을 넣기 위해 이 문단이 필요한 이유 역시 알 수 없습니다. --Garam 논의 2019년 3월 2일 (토) 16:32 (KST)답변

대한민국 법에서도 그렇게 나와있다고요. 제가 "우리"라는 말을 쓴 건 님도 같이 대한민국 사회에서 대한민국 법의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느껴서요. 님이 한국말을 쓰시니 1차적으로 드는 생각은 같은 한국인이란 건데 그에 따르면 우리라는 대명사를 써서 "대한민국 법"이란 단어를 대체해서 표현하면 어떨까 싶어서요. 위키미디어 재단의 토론란은 사용자에게 전하고 싶은 내용을 수필로 담을 수 있게 한다고 나오며, 그에 따르면 자신의 부연설명도 가능하지 않겠어요? 물론, 그걸하려면 자신의 지식에 관한 확신 뿐 아니라 설명하려는 대상과의 유사성이 많은 예시를 그 설명의 근거와 함께 제시해야하고요.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16:48 (KST)--답변

@어논: 위키미디어 재단 산하 한국어 프로젝트는 대한민국에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한국어라는 언어 역시 대한민국에 구애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덧붙여서 현재 하는 말씀은 그 논지를 이해하기 힘듭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산하 한국어 프로젝트에서 활동하기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차라리 m:위키미디어 대한민국/ko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Garam 논의 2019년 3월 2일 (토) 18:05 (KST)답변

이곳은 지금 위키낱말사전 한국어 판입니다. 모든 낱말사전엔 공통적으로 외래어 낱말도 수록 돼 있어요. 전 외국어에서 온 개념을 본래의 뜻에 벗어나지 않게 우리말로 풀어내겠단 것입니다. 제 요지를 간단히 말하면, 스토킹이란 용어가 원래 영어권에서 등장했는데 영국 대학 캠브리지의 사전적 정의에서도 제가 법심리학적으로 조사한 개념과 맞아떨어진단 것이죠. 그래서, 전 스토킹 용어의 정의를 제가 써 둔 대로 이 위키낱말사전에 두는 게 나을거라고 생각해요.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18:48 (KST)--답변

@어논: 논점 파악이 힘드신 것 같아서 쉽게 적어보겠습니다.
  1. 누군가 그 부분에 대해 명백히 이의를 제기한 적이 있습니까?
  2. 해당 작성 부분에 대해 자의적 견해 대신에 증명 가능한 출처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3. 현재 이 문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Garam 논의 2019년 3월 2일 (토) 20:03 (KST)답변

질문 1번에 대한 답: 님이 말하신 1번 질문 중에 "그 부분"이란 것이 이 문서에 기록된 낱말 의미 수정을 얘기한다면 전 님의 1번 질문에 이렇게 답하겠습니다. 1번 답: 낱말 문서도 위키백과를 창립한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만들었잖아요. 고의적으로 낱말 의미를 왜곡하지 않고 근본적 정의(definition)를 우선한다면 누구나 고치고 다른 내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곳 사용자도 위키백과의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고의와 장난으로 편집을 않는 한 누구나 동일한 편집 권한을 가집니다. 전 따라서, 기록된 단어 의미 수정에 있어서 "누군가 그 부분에 대해 명백히 이의를 제기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내용은 따질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제가 얘기한 요지와 님이 얘기한 요지가 다르다면 1번 질문에서 님이 얘기한 "그 부분"이 정확히 뭘 얘기하는 건지 구체적으로 설명 바랍니다.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20:33 (KST)--답변

질문 2번에 대한 답: 견해와 증거는 함께합니다. 그런데 님 질문에 "견해 말고 증명가능한 출처"라뇨? 제 입장에선 황당합니다만... 아까도 언급했는데 굳이 또 출처를 밝히자면 캠브릿지 영어 어원 사전이에요. 본토 단어 뜻은 해당 언어의 본토국에서 찾는 게 단어를 적확히 풀이하고, 어원찾는데 적절합니다. 여기 나와있네요. 캠브리지 대학교 영어 사전(https://dictionary.cambridge.org)에 따른 스토킹의 의미

stalking: the crime of illegally following and  watching someone over a period of time.
스토킹: 누군가를 불법적으로 일정시간 지나치게  따라다니고  감시하는 범죄.

3번에 대한 답: 답이 아니고 질문인데요 님이 질문하는 "이 문단이 필요한 이유"에서 "이 문단"은 뭘 말하는 겁니까? 전 질문의 표현이 애초에 이해가 안되면 대답을 잘 못해서요 구체적으로 질문 3번에서 언급한 "이 문단"은 뭘 말하는건지 님이 일단 제 질문에 답 해주시죠. 어논 (토론) 2019년 3월 2일 (토) 20:50 (KST)--답변

위키미디어 재단 산하 프로젝트에서 다른 사람과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협회의 도움을 받으십시오. 이는 사용자 개개인의 도움으로는 결코 해결되기 힘들어보입니다. --Garam 논의 2019년 3월 3일 (일) 17:4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