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
명사[편집]
명사 1[편집]
- 어원: < 중세 한국어 구룸 (석보상절 1447) / 구름 (원각경언해 1465)
- 1. 증발한 아주 작은 물방울이 하늘 높이 공기 중에 서로 엉겨 눈으로 보기에 희거나 거무스름한 덩어리.
-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
- 검은 구름이 몰려드는 것을 보니 곧 소나기가 올 것 같다.
- 해가 구름에 가리어 걷기에는 좋았으나 혹시 비가 내리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따옴◄김용성, 도둑 일기)
관용구[편집]
- 구름 잡다: 헛된 것을 하다.
- 구름같이 모여들다: 한꺼번에 많이 모여들다.
관련 어휘[편집]
▪꽃구름 | ▪나비구름 | ▪놀구름 | ▪두루마리구름 | ▪뜬구름 |
▪매지구름 | ▪먹구름 | ▪명주실구름 | ▪모루구름 | ▪물결구름 |
▪무지개구름 | ▪뭉게구름 | ▪비구름 | ▪버섯구름 | ▪소나기구름 |
▪양떼구름 | ▪원자구름 | ▪조각구름 | ▪털층구름 | |
번역
|
|
명사 2[편집]
- 1. 문화어에서 ‘귀룽’을 달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