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국제 음성 기호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히라가나| 일본어 가타카나| 스웨덴어| 그리스어| 러시아어| 히브리어| 스페인어| 에스페란토| 우니쉬 |
틀:단축 본 문서는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한국어 IPA 표기에 관한 설명 및 예시에 관한 문서입니다. 이전에 한국어 낱말을 편집할 때는 IPA 틀을 이용하여 각 문서마다 개별적으로 IPA를 나타냈었고 이 때문에 편집자에 따라 표기 규칙이 제각각이였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그럴 필요 없이 따로 입력이 필요없는 틀을 새로 마련했으니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참여하는 여러분께서는 표기의 통일성을 위하여 ko-IPA 틀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보기에 든 낱말 가운데 녹색으로 표시된 낱말의 발음은 '#자모의 기본 IPA 표기'와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을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면 좋습니다.
여기에 나와있는 표기는 시중의 다른 교재에 나와있는 정보와 다를 수도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모의 기본 아피에이[IPA] 표기
[편집]입술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방 /pa̠ŋ/ 보다 /po̞da̠/ | ||
가운데 | 아버지 /a̠bʌ̹d͡ʑi/ 넘보다 /nʌ̹mbo̞da̠/ | ||
받침[1] | 밥 /pa̠p̚/ 굽다 /kup̚t͈a̠/ | ||
첫소리 | 파 /pʰa̠/ 펴다 /pʰjʌ̹da̠/ | ||
가운데 | 슬프다 /sʰɯɭbʱɯda̠/ 태풍 /tʰɛ̝bʱuŋ/ | ||
받침[1] | 잎 /ip̚/ 숲속 /sʰups͈o̞k̚/ | ||
첫소리 | 빵집 /p͈a̠ŋd͡ʑip̚/ 빨리 /p͈a̠ɭʎi/ 뽀뽀 /p͈o̞p͈o̞/ | ||
가운데 | 기쁘다 /kip͈ɯda̠/ 사뿐 /sʰa̠p͈un/ | ||
받침 | - | - |
이와 잇몸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동 /to̞ŋ/ 더위 /tʌ̹ɥi/ | ||
가운데 | 하다 /ha̠da̠/ 구두 /kudu/ | ||
받침[1] | 받침 /pa̠t̚t͡ɕʰim/ 숟가락 /sʰut̚k͈a̠ɾa̠k̚/ | ||
첫소리 | 타다 /tʰa̠da̠/ 터지다 /tʰʌ̹d͡ʑida̠/ | ||
가운데 | 농토 /no̞ŋdʱo̞/ 배탈 /pɛ̝dʱa̠ɭ/ | ||
받침[1] | 끝 /k͈ɯt̚/ 같다 /ka̠t̚t͈a̠/ | ||
첫소리 | 딸기 /t͈a̠ɭɡi/ 뚜쟁이 /t͈ud͡ʑɛ̝ŋi/ | ||
가운데 | 가래떡 /ka̠ɾɛ̝t͈ʌ̹k̚/ 똑똑하다 /t͈o̞k̚t͈o̞kʰa̠da̠/ | ||
받침 | - | - | |
첫소리 | 소리 /sʰo̞ɾi/ 사람 /sʰa̠ɾa̠m/ 신라 /ɕʰiɭɭa̠/ | ||
가운데 | 모습 /mo̞sʰɯp̚/ 자식 /t͡ɕa̠ɕʰik̚/ | ||
받침[1] | 갓 /ka̠t̚/ 낫다 /na̠t̚t͈a̠/ 웃옷 /udo̞t̚/ | ||
첫소리 | 싸구려 /s͈a̠ɡuɾjʌ̹// 씀씀이 /s͈ɯms͈ɯmi/ 씨앗 /ɕ͈ia̠t̚/ | ||
가운데 | 애쓰다 /ɛ̝s͈ɯda̠/ 불쑥 /puɭs͈uk̚/ | ||
받침[1] | -았습니다 /a̠t̚s͈ɯmnida̠/ -었다 /ʌ̹t̚t͈a̠/ |
목 천장 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가수 /ka̠sʰu/ 검정 /kʌ̹md͡ʑʌ̹ŋ/ | ||
가운데 | 고기 /ko̞ɡi/ 아가씨 /a̠ɡa̠ɕ͈i/ | ||
받침[1] | 백 /pɛ̝k̚/ 수직선 /sʰud͡ʑiks͈ʌ̹n/ | ||
첫소리 | 칸 /kʰa̠n/ 컴컴하다 /kʰʌ̹mkʰʌ̹mɦa̠da̠/ | ||
가운데 | 빈칸 /pinɡʱa̠n/ 물컵 /muɭɡʱʌ̹p̚/ | ||
받침 | 부엌 /puʌ̹k̚/ | ||
첫소리 | 꼬리 /k͈o̞ɾi/ 까불다 /k͈a̠buɭda̠/ | ||
가운데 | 바깥 /pa̠k͈a̠t̚/ 임꺽정 /imk͈ʌ̹k̚t͡ɕ͈ʌ̹ŋ/ | ||
받침[1] | 밖 /pa̠k̚/ 꺾다 /k͈ʌ̹k̚t͈a̠/ |
입천장 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조국 /t͡ɕo̞ɡuk̚/ 진리 /t͡ɕiɭʎi/ | ||
가운데 | 자주 /t͡ɕa̠d͡ʑu/ 친절 /t͡ɕʰind͡ʑʌ̹ɭ/ | ||
받침[1] | 낮 /na̠t̚/ 잊다 /it̚t͈a̠/ | ||
첫소리 | 처음 /t͡ɕʰʌ̹ɯm/ 찾다 /t͡ɕʰa̠t̚t͈a̠/ | ||
가운데 | 아차산 /a̠d͡ʑʱa̠sʰa̠n/ 고추 /ko̞d͡ʑʱu/ | ||
받침 | 낯 /na̠t̚/ 빛나다 /pinna̠da̠/ 꽃잎 /k͈o̞nnip̚/ | ||
첫소리 | 짜다 /t͡ɕ͈a̠da̠/ 찔끔 /t͡ɕ͈iɭk͈ɯm/ | ||
가운데 | 아찔하다 /a̠t͡ɕ͈iɾɦa̠da̠/ 짝짝이 /t͡ɕ͈a̠k̚t͡ɕ͈a̠ɡi/ | ||
받침 | - | - |
목구멍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하다 /ha̠da̠/ 호랑이 /ɸʷo̞ɾa̠ŋi/ | ||
가운데 | 다하다 /ta̠ɦa̠da̠/ 기호 /kiβʷo̞/ | ||
받침[2] | 낳다 /ˈna̠ːtʰa̠/ 닿소리 /ta̠s͈o̞ɾi/ |
콧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마음 /ma̠ɯm/ 먹다 /mʌ̹k̚t͈a̠/ | ||
가운데 | 목구멍 /mo̞k̚k͈umʌ̹ŋ/ 고물 /ko̞muɭ/ | ||
받침 | 엄청 /ʌ̹md͡ʑʱʌ̹ŋ/ 한심하다 /ha̠nɕʰimɦa̠da̠/ | ||
첫소리 | 나리 /na̠ɾi/ 너희 /nʌ̹ʝi/ | ||
가운데 | 사나이 /sʰa̠na̠i/ 저녁 /t͡ɕʌ̹ɲjʌ̹k̚/ 어머니 /ʌ̹mʌ̹ni/ 어금니 /ʌ̹ɡɯmni/ | ||
받침 | 가난하다 /ka̠na̠nɦa̠da̠/ 돌연히 /to̞ɾjʌ̹nʝi/ | ||
첫소리 | - | 어제 /ʌ̹d͡ʑe̞/ 오늘 /o̞nɯɭ/ | |
가운데 | - | 세월 /sʰe̞wʌ̹ɭ/ 속옷 /sʰo̞ɡo̞t̚/ | |
받침 | 성공 /sʰʌ̹ŋɡo̞ŋ/ 사랑 /sʰa̠ɾa̠ŋ/ |
구르는 소리 | IPA | 보기 | |
---|---|---|---|
첫소리 | 르완다 /ɾɯwa̠nda̠/ 라면 /ɾa̠mjʌ̹n/ | ||
가운데 | 자랑 /t͡ɕa̠ɾa̠ŋ/ 구르다 /kuɾɯda̠/ | ||
받침 | 솔잎 /sʰo̞ɭʎip̚/ 절약 /t͡ɕʌ̹ɾja̠k̚/ |
|
|
겹받침
[편집]- 한국어 겹받침은 모두 11자 이다. 겹받침은 언제나 홑소리 값을 갖는데, ㄺ, ㄻ, ㄼ, ㄿ을 빼고는 첫째 자음이 겹받침의 소리 값이 된다.
- ㄿ의 소리 값은 언제나 둘째 자음이다.
- ㄺ, ㄻ, ㄼ은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에 따라서 첫째 또는 둘째 자음이 그 소리 값을 잃게 된다.
- 겹받침을 가진 두 글자 이상의 모든 낱말은 #연음 법칙, #된소리나기, #거센소리나기에 따라 음운변화를 한다.
겹받침 | IPA | 보기 |
---|---|---|
삯 /sʰa̠k̚/ 삯일 /sʰa̠kniɭ/ -> /sʰa̠ŋniɭ/ 넋 /nʌ̹k̚/ 넋두리 /nʌ̹k̚sduɾi/ -> /nʌ̹k̚t͈uɾi/ | ||
앉- /a̠n/ 앉다 /a̠nt͈a̠/ 얹- /ʌ̹n/ 얹다 /ʌ̹nt͈a̠/ | ||
않- /a̠n/ 않다 /a̠n(t)da̠/ -> /a̠ntʰa̠/ 점잖다 /t͡ɕɘːmd͡ʑan(t)da̠/ -> /t͡ɕɘːmd͡ʑa̠ntʰa̠/ | ||
닭 /ta̠k̚/ 닭장 /ta̠k̚t͡ɕ͈a̠ŋ/ 읽- /ik̚/ 읽다 /ik̚t͈a̠/ | ||
삶 /sʰa̠ːm/ 삶다 /sʰa̠mt͈a̠/ 젊- /ˈt͡ɕɘːm/ 젊은이 /t͡ɕʌ̹ɭmɯni/ | ||
넓- /nʌ̹ɭ/ 넓다 /nʌ̹ɭt͈a̠/ 밟- /ˈpa̠ːp̚/ 밟다 /ˈpa̠ːp̚t͈a̠/ | ||
곬 /ko̞ɭ/ | ||
핥- /ha̠ɭ/ 핥다 /ha̠ɭt͈a̠/ 훑다 /ɸʷuɭt͈a̠/ | ||
읊- /ɯp̚/ 읊다 /ɯp̚t͈a̠/ 읊조리다 /ɯp̚t͡ɕ͈o̞ɾida̠/ | ||
옳- /o̞ɭ/ 옳다 /o̞ɭtʰa̠/ 잃다 /iɭtʰa̠/ 싫다 /ɕʰiɭtʰa̠/ | ||
없- /ˈɘːp̚/ 없다 /ˈɘːp̚t͈a̠/ 값 /ka̠p̚/ 값어치 /ka̠bʌ̹t͡ɕʰi/ |
자모의 다른 IPA 표기
[편집]아래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몇몇 한글 자모의 서로 다른 IPA 표기입니다.
자모 |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 다른 한국어 교재 |
---|---|---|
ㅓ | [ʌ̹] | [ə] / [ɔ] |
ㅐ | [ɛ] | [æ] |
ㅈ | [t͡ɕ] / [d͡ʑ] | [ʃ] / [ʧ] / [ʒ] / [ʤ] [c] / [ɟ] |
음운 변화에 따른 규칙
[편집]다음의 보기를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음운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못의 IPA 표기 [mo̞t̚]에서 끝소리 [-t]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화된 소리 ('ㅊ, ㅌ, ㅍ' 제외):
ㅅ + ㄱ | 못 가다 | ─> | ||
ㅅ + ㄴ | 못 넣다 | ─> | ||
ㅅ + ㄷ | 못 듣다 | ─> | ||
ㅅ + ㅁ | 못 먹다 | ─> | ||
ㅅ + ㅂ | 못 보다 | ─> | ||
ㅅ + ㅅ | 못 사다 | ─> | ||
ㅅ + ㅈ | 못 자다 | ─> | ||
ㅅ + ㅊ | 못 참다 | ─> | ||
ㅅ + ㅌ | 못 타다 | ─> | ||
ㅅ + ㅍ | 못 팔다 | ─> | ||
ㅅ + ㅎ | 못하다 | ─> |
연음 법칙
[편집]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앞선 글자가 받침이 있으며 그리고 뒤에 오는 글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로 넘어가며 발음되는 것을 연음법칙이라 한다. 한글의 IPA는 다음의 연음법칙에 따라 표기해야 한다.
- 5. 받침 ㄷ + 모음 ('이' 제외) ─> [d]
- 받았다
- 6. 받침 ㅂ, ㅍ + 모음 ─> [b]
- 답안지
- 7. 받침 ㅈ, ㅊ + 모음 ─> [d͡ʑ]
- 맞았다
- 8. 받침 ㅅ, ㅆ + 모음 ─> [sʰ / ɕʰ]
- 멋있다
자음 동화
[편집]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소리로 나는 것을 자음 동화라고 부른다. 자음 동화는 다음의 경우에 일어난다.
- 1. ㄴ [n] + ㄹ [ɾ] ─> [ɭʎ / ɭɭ]
- 2. ㄹ [ɭ] + ㄴ [n]─> [ɭɭ]
- 3. ㅂ [p] + ㅁ [m] ─> [mm]
- 4. ㄷ / ㅅ / ㅈ / ㅊ / ㅎ [t] + ㄴ [n] ─> [nn]
된소리나기
[편집]된소리나기는 낱말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앞선 글자의 받침:
- ㄱ, ㅋ, ㄲ ─> [k]
- ㄷ, ㅌ, ㅅ, ㅈ, ㅊ ─> [t]
- ㅂ, ㅍ ─> [p]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앞선 받침의 소리 값의 영향을 받아 뒤에 오는 첫 자음이 된 소리로 나는 것을 '된소리나기'라 부른다. 한글의 된소리에는 아래의 다섯 가지가 있으며,
- ㄲ
- ㄸ
- ㅃ
- ㅆ
- ㅉ
- 그리고 된소리나기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위에 든 앞선 글자의 받침 +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 합성어에서 첫 의미소의 받침 + 빠진 사이시옷 + 뒤 의미소의 첫 자음 (ㄱ, ㄷ, ㅂ, ㅅ, ㅈ)
- 이때 1번 2번 가릴 것 없이 뒤에 오는 글자의 첫 자음(ㄱ, ㄷ, ㅂ, ㅅ, ㅈ)이 각각 ㄲ, ㄸ, ㅃ, ㅆ, ㅉ으로 된소리가 난다.
- 1) ㄲ
ㄱ + ㄱ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ㄱ |
빠진 사이시옷 + ㄱ |
국가 받기 덮개 꽃가루 | 물(ㅅ)고기 문(ㅅ)고리 곰(ㅅ)국 |
- 2) ㄸ
ㄱ + ㄷ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ㄷ |
빠진 사이시옷 + ㄷ |
받다 깎다 같다 곱다 꽃동산 | 손(ㅅ)등 갈(ㅅ)대 |
- 3) ㅃ
ㄱ + ㅂ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ㅂ |
빠진 사이시옷 + ㅂ |
돋보기 맛보다 젖비린내 앞발 | 술(ㅅ)병 문(ㅅ)법 |
- 4) ㅆ
ㄱ + ㅅ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ㅅ |
빠진 사이시옷 + ㅅ |
낚시꾼 앞서다 닿소리 | 촌(ㅅ)사람 창(ㅅ)살 |
- 5) ㅉ
ㄱ + ㅈ (ㄷ, ㅌ, ㅂ, ㅍ, ㅅ, ㅈ, ㅊ) + ㅈ |
빠진 사이시옷 + ㅈ |
숙제 끝장 앞장서다 | 염(ㅅ)증 벌(ㅅ)점 |
거센소리나기
[편집]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첫 자음 ㅎ과 부딪치거나 또는 앞선 글자의 받침 ㅎ이 뒤에 오는 첫 자음과 부딪칠 때 이 두 자음이 한데 어울려 거센 한 소리로 나는 것을 '거센소리나기'라 부른다. 이 때에는 앞선 글자의 받침은 대개 빠진다.
- 1. 받침 + 뒤따르는 첫 자음 ㅎ
- 1) ㄱ [k] + ㅎ [h] ─> [kʰ]
- 2) ㅂ [p] + ㅎ [h] ─> [pʰ]
- 3) ㄷ / ㅅ / ㅈ [t] + ㅎ [h] ─> [t͡ɕʰ], [tʰ]
- 2. 앞선 받침 ㅎ + 뒤따르는 첫 자음 ㄱ, ㄷ, ㅈ
- 1) ㅎ [(t)] + ㄱ [k] ─> [kʰ]
- 2) ㅎ [(t)] + ㄷ [t] ─> [tʰ]
- 3) ㅎ [(t)] + ㅈ [t͡ɕ] ─> [t͡ɕʰ]
콧소리나기
[편집]'콧소리나기'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이는 자음 동화 현상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 1번-3번: ㄹ을 뺀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 자음 (ㄴ, ㅁ)과 부딪칠 때 앞선 글자의 받침이 뒤에 오는 콧소리의 영향을 받아 같이 콧소리가 나거나
- 4번: 모음으로 끝나거나 혹은 ㄴ 받침을 가진 앞선 낱말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 예로 시작하는 낱말이 올 때 울리는 콧소리(ɲ)가 난다.
- 1. 받침 ㅂ, ㅍ [p] + ㄴ [n] / ㅁ [m] ─> [mn] / [mm]
- 2. 받침 ㄷ / ㅌ / ㅅ / ㅈ / ㅊ / ㅎ [t, (t)] + ㄴ [n], ㅁ [m] ─> [nn] / [nm]
- 3. 받침 ㄱ / ㄲ / ㄺ [k] + ㄴ [n], ㅁ [m] ─> [ŋm] / [ŋn]
- 4. 모음 / ㄴ + 야, 여, 요, 유, 예 ─> [ɲ]
위의 #된소리나기에서 살펴본 빠진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의 발음 밖에 사이시옷을 가진 낱말들은 다음의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 1번은 된소리나기에 해당되며 2번은 콧소리나기에 해당된다.
- 합성어 가운데 앞 낱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 뒷 낱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
시옷 + 모음
[편집]ㅅ 또는 ㅆ이 모음 '이', '여', '야', '요', '유'에 함께 이루어진 낱말은 [s] ─> [ʃ] / [ʃʼ]로 표기한다. 이때에 1번의 경우는 한국어 본래의 낱말이며, 2번의 경우에는 (주로 영어에서 온) 외래어이다.
낱말 '의'
[편집]'의' [ɰi]는 낱말에 따라 '이'로 발음하기도 한다. (표준발음법 제5항 참조)
- '의'로 발음할 때
- '이'로 발음할 때
긴소리
[편집]한국어 낱말에서 모음의 긴소리는 언제나 첫 음절에서만 일어난다. 다시 말해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낱말에서 긴소리를 가진 글자가 첫째 음절 다음에 올 때에는 그 긴소리 값을 잃게 된다.
같이 보기
[편집]- 위키낱말사전:IPA 편집부
- 위키낱말사전:X-SAMPA, 위키낱말사전:SAMPA
- 위키낱말사전:영어 발음 표기
- 위키낱말사전:로마자 표기법/한글
- 위키낱말사전:로마자 표기법/매큔-라이샤워
- 위키낱말사전:로마자 표기법/예일
- 도움말:IPA 발음 듣기
- 부록:한글 자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