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다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
음성 | 듣기 |
![]() |
동사[편집]
- 1. 무엇이 밖으로 생기다.
- 싹이 나다.
- 가슴에 털이 나다.
관련 어휘[편집]
- 유의어: 생기다
번역
|
- 2. 무엇에 변화가 생기다.
- 라디오가 고장이 나다.
- 배탈이 나서 설사를 하다.
번역
|
|
- 3. 농산물, 광물, 어물 따위가 산출되다.
- 제주도에는 귤이 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번역
|
|
- 4. 소식이나 소문이 전해지다.
- 신문에 난 기사가 정말인지 믿기가 어렵다.
번역
|
|
- 5. 어떤 기분, 짜증, 신경질 따위를 느끼다.
- 짜증이 나는 것을 참을 수가 없다.
- 일 할 기분이 나지 않는다.
번역
|
조동사[편집]
- 1. (동사 뒤에서 '-고 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났음을 나타낸다.
- 정옥이는 남편을 뚝 떠나보내고 나니, 그야말로 시원섭섭하였다. (따옴◄염상섭, 올수)
번역
|
|
접미사[편집]
- 1. (일부 명사나 명사성 어근에 붙어) 그런 성질이 있음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든다.
관련 어휘[편집]
- 파생어 목록:
▪각별나다 | ▪네모나다 | ▪독별나다 | ▪뚝별나다 | ▪맛나다 |
▪맛깔나다 | ▪모나다 | ▪별나다 | ▪별쭝나다 | ▪뻔질나다 |
▪성미나다 | ▪엄청나다 | ▪유별나다 | ▪자별나다 | ▪작살나다 |
▪주살나다 | ▪중뿔나다 | ▪출중나다 | ▪특별나다 | |
번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