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
명사 1[편집]
- 1-1. 주나라 때에는 경(卿)의 아래, 사(士)의 위에 해당하는 집정관(執政官)의 지위에 있었다. 다시 상대부(上大夫)ㆍ중대부(中大夫)ㆍ하대부(下大夫)로 세분된다.
- 1-2. 진(秦)나라 때의 작위(爵位)의 이름으로, 벼슬의 품계에 붙이는 칭호였다.
- 1-3. 한나라 이후에는, 어사대부(御史大夫)ㆍ광록대부(光祿大夫)와 같은 합성어로 쓰였다.
- 2. 고려ㆍ조선 시대에, 벼슬의 품계에 붙이던 칭호. 고려 시대에는 종이품에서 종오품까지 또는 정이품에서 종사품까지의 벼슬에, 조선 시대에는 정일품에서 종사품까지의 벼슬에 붙였다.
명사 2[편집]
- 어원: 한자 代父.
번역
|
|
- 2.
- 어원: 한자 貸付.
번역
|
|
참고 문헌[편집]
![]() |
이 문서에는 국립국어원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로 배포한 여러 인터넷 사전(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영어 학습사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