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
명사[편집]
명사 1[편집]
- 어원: 한자 息肩
- 1. 어깨를 쉬게 한다는 뜻으로, 무거운 책임을 벗음을 이르는 말.
명사 2[편집]
- 어원: 한자 識見
- 1. 학식과 견문이라는 뜻으로, 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르는 말.
- 식견이 높다.
- 식견이 얕다.
- 식견이 있다.
- 식견을 넓히다.
- 식견을 기르다.
- 식견을 가지다.
- 식견을 갖추다.
- 그는 마치 백제의 패망사에 관해 아무런 이해도 식견도 없는 사람처럼 다짜고짜 그렇게 홍 박사를 추궁하고 들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 이런 사람들은 식견도 없거니와 열의가 없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 그러나 자제분은 군 통제 구역의 출입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냐를 알 만한 식견의 소유자임에도 불구하고 무모한 행동을 했어요.≪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명사 3[편집]
- 어원: 한자 食犬
- 1. 개를 먹음. 또는 식용 개.
- 세계적 ‘식견(食犬) 국가’로 지탄받아 온 한국도 이젠 애완견 시대를 맞아 호화 애견 산업까지 번창하고 있다.≪세계일보 2003년 9월≫
- 16세기 명나라 때의 《본초강목》에는 개의 쓰임새를 세 가지로 분류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 가운데 하나가 식견(食犬)이다.≪한국일보 2008년 7월≫
![]() |
이 문서에는 국립국어원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로 배포한 여러 인터넷 사전(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영어 학습사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