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음성 | 듣기 |
![]() |
|
oir
명사[편집]
명사 1[편집]
명사 2[편집]
- 어원: 한자 敔
- 1. 궁중에서 쓰던 타악기의 하나.
번역
|
|
명사 3[편집]
번역
|
|
감탄사[편집]
- 1. 놀라거나 또는 어리둥절 할 때 되내이는 말.
- 어, 잘못되었군요.
- 어, 볼펜이 갑자기 어디로 갔지?
번역
접미사[편집]
▪검색어 | ▪굴절어 | ▪고립어 | ▪교착어 | ▪남성어 |
▪동의어 | ▪복합어 | ▪서술어 | ▪여성어 | ▪외래어 |
▪의성어 | ▪전와어 | ▪타국어 | ▪파생어 | ▪포합어 |
▪표준어 | ▪한국어 | ▪한자어 | ▪합성어 | ▪활용어 |
어근[편집]
- 1. '어하다'의 어근.
번역
|
|
어미[편집]
- 1. 끝 음절의 홀소리가 'ㅏ, ㅗ'가 아닌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뒤에 붙어서 일을 어떻게 하는가 또는 그것의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어미.
- 복은 깨를 찧어서 깨소금을 만들다.
- 간식을 조금 전에 먹어서 배가 고프지 않다.
- 울어서 눈두덩이 부었다.
- 막걸리를 자주 마셔서(>마시어서) 배가 튀어나왔다.
- 2.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하는 데 쓰이는 어미.
- 애교를 떨며 간청을 하는 통에 마지못해 부탁을 들어 주었다.
- 아파트에 사는 사람 손 들어 보세요.
독음[편집]
- 1. 다음 한자의 독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