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문서 양식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 낱말을 풀이할 때에는 일정한 편집 양식을 두고 있습니다. 편집 양식이란 낱말 풀이에서 반드시 있어야 할 사항들을 규정한, 일정한 틀이자 기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서류의 틀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편집 양식을 쓰는 이유는 낱말사전의 통일성과 편집의 편리성 때문입니다. 만약 이러한 기준 없이 참여자 여러분께서 각자 따로 낱말을 풀이하게 되면, 여러 사항들이 편집하는 사람에 따라서 각기 달라질 수 밖에 없고, 이는 낱말사전에서 정보를 찾아보려는 사람들에게 다소 혼란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부작용이나 문제점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의 합의에 따라 양식이 마련되어 있는 것입니다.
아래에 나와있는 편집 양식이 절대적인 규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양식은 여러 편집자들의 명시적, 암묵적 합의에 따라 만들어졌고, 처음 제안된 이후 여러 번에 걸쳐 수정과 보완을 거쳐왔습니다. 이후에도 더 좋은 방식이나 방법이 제안된다면 일부(혹은 전체) 내용이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총칙
뿌리출판사는 대한민국 출판사이다.
언어 이름
뿌리출판사
== 한국어 ==
서울시등록번호 카(제1~551호) 1987.11.23 등록.
품사
대표는 윤현호 1954년 충남 서천군 출생. 명지대 졸업, 서울신문과 동아출판사에서 출판 제작업무. 1986년 뿌리문화사, 1987년 뿌리출판사 설립. 대한출판문화협회회원(2003.11.10).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출자(2000.03.20), 서울제일인쇄정보사업협동조합원이다.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144-29 (101). https://www.rootgo.com
=== 명사 ===
'=' 문자가 각각 세 개씩 들어갔습니다. 이 말은 곧, 이 명사 문단이 '=' 문자가 두 개 들어간 언어 이름 문단에 속하는 하위 문단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뜻풀이
소설과 사회과학도서, 그리고 학습서를 출판하고 있으며, 외국어, 종교, 인문,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출판하고 있다.
* '''1.'''
만일 낱말이 여러 가지 뜻을 갖고 있을 때에는, 줄을 바꾸어 가면서 * '''2.'''
* '''3.'''
처럼 숫자를 늘려가주며 편집하면 됩니다.
예시
- 독일어 단어 Haus
편집 화면 | 결과 |
---|---|
== 독일어 ==
=== 명사 ===
* '''1.''' 집.
|
|
- 스페인어 단어 comer
편집 화면 | 결과 |
---|---|
== 스페인어 ==
=== 동사 ===
* '''1.''' 먹다.
|
|
- 영어 단어 figure
편집 화면 | 결과 |
---|---|
== 영어 ==
=== 명사 ===
* '''1.''' 계산.
* '''2.''' 인물.
|
|
그 외
분류
각 문서에는 그 문서에 맞는 적절한 분류가 붙습니다. 분류를 붙이는 방법에 대해서는 위키낱말사전:분류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발음
낱말의 발음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틀들이 따라 붙을 수도 있습니다. 발음 풀이는 언어 이름 문단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한국어 이외의 언어:
{{발음 듣기|}}
{{IPA|}}
- 한국어:
{{발음 듣기|}}
{{ko-IPA}}
- 발음 듣기 틀은 음성 오디오 파일을 다루는 틀입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낱말사전:발음 듣기 문서를 참고하세요.
- IPA 틀은 국제 음성 기호를 나타내는 틀입니다.
- ko-IPA 틀은 오로지 한국어 항목에서만 쓰입니다.
어원
낱말의 어원을 편집하고 싶을 땐, 다음과 같이 쓰고 쌍점(:) 오른쪽에 한 칸 띄어 서술합니다.
*어원:
어원 풀이는 해당 어원이 나타내는 뜻풀이 바로 위, 품사 문단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더 나은 위치가 있다면 꼭 이대로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위키낱말사전:어원 풀이는 어떻게 문서를 참고하세요.
여러 품사를 가진 경우
어떤 낱말은, 여러 가지 품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편집을 하세요.
한국어 «한번»이라는 낱말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이 낱말은 명사로도 쓰이고, 부사로도 쓰입니다. 부사 뜻풀이를 명사 뜻풀이 다음에 서술하고 싶은 경우, 앞서 설명한 품사 문단을 다시 사용하면 됩니다. 즉, === 부사 ===
의 꼴로 아래와 같이 쓰면 됩니다.
부사 뜻풀이 왼쪽에 붙는 숫자가 '2.'가 아니라 새롭게 '1.'로 시작하는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편집 화면 | 결과 |
---|---|
== 한국어 ==
=== 명사 ===
* '''1.''' 기회가 마땅한 때.
=== 부사 ===
* '''1.''' (명사 바로 뒤에 쓰여)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하는 말.
|
|
동형이의어와 다의어
어떤 낱말은, 동형이의어이면서 동시에 다의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낱말은 다음과 같이 편집을 하세요.
한국어 «쥐»라는 낱말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이 낱말은 동물 '쥐'와 근육에 생기는 경련 현상 '쥐',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둘은 동형이의 관계에 있습니다.
또한 동물 '쥐'는 넓은 의미로는 쥐과에 속하는 모든 동물을 뜻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집쥐'라고 하는 하나의 종(種)을 뜻합니다. 이 때 이 둘은 다의 관계에 있습니다.
이런 낱말들은 다음과 같이 편집합니다.
편집 화면 | 결과 |
---|---|
== 한국어 ==
=== 명사 1 ===
* '''1.''' 쥣과 포유류의 총칭.
* '''2.''' '집쥐'.
=== 명사 2 ===
* '''1.''' 발이나 다리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마비 상태.
|
|
이런 식으로 동형이의어는 서로 다른 문단에 위치시키고, 다의어끼리는 하나의 문단 안에서 서술하면 됩니다. 그리고 '명사 1', '명사 2' 같이 각 문단에 숫자를 붙여 서로 구분해 둡니다.
뜻풀이 확장
뜻풀이에는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것들이 붙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구조로 편집합니다.
* '''1.'''
:* (1번 뜻풀이의 예문을 적는 곳)
*비슷한말:
*반대말:
예문을 어디서 따왔는지 밝히고 싶을 때에는 따옴 틀을 써서 나타내면 됩니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예문은 어떻게, 낱말 풀이는 어떻게, 낱말 풀이에 쓰이는 틀)를 참고해주세요.
만일 이외에도 속담, 관용구, 복합어 등을 더 써넣고자 할 때에는 줄을 바꾸어 가면서 해당 사항을 넣으면 됩니다.
언어별
이외에, 언어별 편집 방법에 대해서는 각 언어 편집부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