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발음[불]
한국어[편집]
음성 | 듣기 |
![]() |
|
명사[편집]
명사 1[편집]
- 인류가 불을 발견한 이후, 문명은 급속도로 발전했다.
- 고기를 먹을 때에는 불로 익혀서 먹는다.
관련 표현[편집]
- 관용구
- 불을 끄다.
- 불이 나다.
- 속담
- 불 가져오라는데 물 가져온다.
- 불 달린 범 같다.
관련 어휘[편집]
- 파생어: 불기, 잔불
- 합성어: 불가마, 불고기, 불꽃, 불구경, 불기둥, 불기운, 불길, 불난리, 불덩어리, 불덩이, 불바다, 불벼락, 불볕, 불빛, 불쏘시개, 불씨, 불이랑, 불장난, 불줄기, 불지옥
- 합성어: 곁불, 군불, 난롯불, 남폿불, 담뱃불, 도깨비불, 들불, 등불, 등잔불, 멧불, 모닥불, 물불, 산불, 숯불, 장작불, 잿불, 짚불, 큰불, 호롱불, 화롯불, 화톳불, 횃불
번역
|
|
- 2. '화재'.
번역
|
|
번역
|
|
명사 2[편집]
명사 3[편집]
- 어원: 不
- 1. 불(不) (역사) 조선시대 과거시험를 볼 때나 서당에서 글을 욀 때, 성적을 매기던 다섯 등급 가운데 마지막 다섯째 등급. 순(純)-통(通)-략(略)-조(租)-불(不) 이는 순통(純通)또는 대통(大通)-통(通)-략통(略通)-조통(租通)-불통(不通)의 뜻을 갖는다.[1]
접두사[편집]
접두사 1[편집]
번역
|
|
접두사 2[편집]
- 1. (일부 명사에 붙어) '몹시 심한'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불가물 | ▪불강도 | ▪불깍쟁이 | ▪불상놈 | ▪불호령 |
번역
|
|
접두사 3[편집]
- 1. (일부 명사에 붙어) '아님, 아니함, 어긋남'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불가능 | ▪불경기 | ▪불공정 | ▪불규칙 | ▪불균형 |
▪불명예 | ▪불완전 | ▪불이익 | ▪불일치 | ▪불충분 |
▪불투명 | ||||
번역
|
|
독음[편집]
- 1. 다음 한자의 독음.
참고[편집]
- ↑ (국사편찬위원회-조선 초기의 정치구조,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http://contents.history.go.kr/data/pdf/nh/nh_023_006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