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한국어 글자 |
음성 | 듣기 |
![]() |
|
감탄사[편집]
- 1. '애걔'.
번역
|
|
명사[편집]
- 1. 한글 홀소리 'ㅐ'의 이름. ㅔ와 구별하기 위해 아이라고도 한다. (부록: 한글 자모)
- 2. 초조한 마음. 흔히 관용적으로 쓰인다.
- 관용구: 애(를) 태우다.
- 관용구: 애(를) 받다.
- 관용구: 애(가) 썩다.
- 관용구: 애(가) 터지다.
- 관용구: 애(를) 말리다.
- 관용구: 애(를) 졸이다.
- 관용구: 애(가) 받치다.
- 유의어: 초조, 안달
번역
|
|
- 3. 몹시 수고로움.
- 4. '아이'의 준말.
- 애가 말썽을 제법 부린다.
- 우는 애 빨리 좀 달래보겠니?
이 뜻의 다른 언어 번역을 알고 싶으시면 '아이'를 참고하세요.
접미사[편집]
접미사 1[편집]
- 1. ('없다'의 어간에 붙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든다.
- 파생어: 없애다
번역
|
|
접미사 2[편집]
번역
|
|
접미사 3[편집]
번역
|
|
- 4. [옛말]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독음[편집]
- 1. 다음 한자의 독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