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어[편집]
|
명사[편집]
- 1. 무엇을 담기 위해 깊게 만든 그릇.
- 2. 통(通) (역사) 조선시대 과거시험를 볼 때나 서당에서 글을 욀 때, 성적을 매기던 다섯 등급 가운데 둘째 등급. 순(純)-통(通)-략(略)-조(租)-불(不) 이는 순통(純通)또는 대통(大通)-통(通)-략통(略通)-조통(租通)-불통(不通)의 뜻을 갖는다.[1]
관련 어휘[편집]
번역
|
|
의존 명사[편집]
- 1. 편지나 서류, 전화 따위를 세는 단위.
- 편지 세 통.
- 전화 한 통.
- 이력서 한 통과 호적 등본 두 통, 졸업 증명서 두 통을 준비해 두어라.
관련 어휘[편집]
번역
|
|
부사[편집]
- 1.
번역
|
|
접두사[편집]
- 1-1. (일부 명사에 붙어) '통째'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통가죽 | ▪통구이 | ▪통나무 | ▪통닭 | ▪통마늘 |
▪통밀 | ||||
번역
|
|
- 1-2. (일부 명사나 동사에 붙어) '온통', '평균'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통거리 | ▪통밀다 | |||
번역
|
|
접미사[편집]
- 어원: 한자 通
- 1-1. (일부 명사에 붙어) '정통한 사람'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목록:
▪관측통 | ▪소식통 | ▪정보통 | ▪외교통 | |
번역
|
|
- 1-2. (일부 명사에 붙어) '거리'의 뜻을 더한다.
- 파생어: 광화문통, 종로통
번역
|
|
어근[편집]
번역
|
|
독음[편집]
- 1. 다음 한자의 독음.
참고[편집]
- ↑ (국사편찬위원회-조선 초기의 정치구조,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http://contents.history.go.kr/data/pdf/nh/nh_023_0060.pdf?
![]() |
이 문서에는 국립국어원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로 배포한 우리말샘 303443번 항목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