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Nuevo Paso: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낱말사전, 말과 글의 누리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uevo Paso (토론 | 기여)
Garam (토론 | 기여)
→‎문화어: 새 문단
120번째 줄: 120번째 줄:
:: 루비 틀이 적용된 문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루비 문자가 보이거나 숨기게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용자:HappyMidnight|HappyMidnight]] ([[사용자토론:HappyMidnight|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4:37 (KST)
:: 루비 틀이 적용된 문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루비 문자가 보이거나 숨기게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용자:HappyMidnight|HappyMidnight]] ([[사용자토론:HappyMidnight|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4:37 (KST)
:::네이버 일본어사전의 후리가나 체크박스 옵션 같은 걸 말하시는 거군요. 예, 제대로 구현만 된다면 좋은 기능이 될 거라 봅니다. --[[사용자:Nuevo Paso|Nuevo Paso]] ([[사용자토론:Nuevo Paso|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5:30 (KST)
:::네이버 일본어사전의 후리가나 체크박스 옵션 같은 걸 말하시는 거군요. 예, 제대로 구현만 된다면 좋은 기능이 될 거라 봅니다. --[[사용자:Nuevo Paso|Nuevo Paso]] ([[사용자토론:Nuevo Paso|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5:30 (KST)

== 문화어 ==

타인의 편집을 정치적 올바름이라 단정한 채로 어떠한 논의를 시도하지 않고 되돌림만을 시도하고 있는 것과 그 이후에도 여전히 토론을 시도하지 않은 채로 편집을 강행하는 것에 심히 유감을 표합니다. 본론으로 들어와서 ‘문화어’ 그 자체는 ‘표준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둘이 포함되어 있는 언어를 조선어 혹은 한국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북한어’라는 말을 쓰는 지역이나 집단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러한 표기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은 SKPOV인 것으로 이는 지양해야 마땅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한국어/조선어 문화권(휴전선 이북, 중국 동북삼성, 일본,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이 언어를 대체적으로 조선어라고 부르고 있는 실정에도 불구하고, 현재 위키미디어 내 프로젝트들에서는 접근성을 이유로 한국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해당 언어의 명칭에 관해서만 그런 것이지 편집에 있어서 대한민국 중심의 편집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어’를 ‘조선어’라고 변경한 것도 아닌, 단순히 정식적인 명칭의 ‘문화어’를 ‘문화어’라고 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을 정치적 중립이라고 단정짓는 것부터가 상당히 불쾌한데, 이를 납득할만한 근거 없이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행동은 더이상 이해할 수 없으므로 그러한 편집은 즉각 중단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용자:Garam|Garam]]([[사용자토론:Garam|논의]]) 2018년 2월 11일 (일) 17:05 (KST)

2018년 2월 11일 (일) 17:05 판

편집 요령

  • 문서에 쓰여진 내용이 잘못되었을 때에는 수정을 할 수 있으나, 쓰여진 내용을 제멋대로 지우는 것은 반달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1]).
  • 문서를 편집하고 난 다음에는 무엇을 고쳤는지 반드시 밝히기를 부탁드립니다 (참조: 편집 내용 간추리기) --아흔(A-heun) (토론) 2009년 2월 26일 (목) 13:34 (UTC)
    •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는 유의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2월 27일 (금) 02:28 (UTC)

한국어의 IPA 표기

사용자께서 몇몇 한국어 낱말에 쓴 IPA 표기는 무슨 책을 근거로 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표기가 맞는지 틀린지는 나는 음운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내가 몇 달을 두고 조사한 바로는 국제 음성 기호에 쓰여진 내용이 신뢰성 있는 전문 서적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를 따라 주실 것을 부탁합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2월 28일 (토) 10:44 (UTC)

제가 참고한 것은 책이 아니라 영어 위키낱말사전을 참고했습니다. 물론 영어 낱말사전의 모든 내용이 맞는 것은 아니고 저도 IPA 표기를 완벽하게 아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틀리게 쓴 것이 있다면 주저 말고 고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편집할때도 주의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3월 1일 (일) 06:12 (UTC)

한국어 인칭대명사

'', '', ''를 부록:한국어 인칭 대명사에 써넣은 것은 세 낱말 모두 오늘날 굳어진 낱말로서 대명사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3월 1일 (일) 13:22 (UTC)

알겠습니다. 주의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3월 7일 (토) 03:35 (UTC)

카테고리

category의 틀린 한국어 번역 '분류'를 써가면서 도시라는 '분류'를 수고스럽게 분류해 가면서 써넣었군요. 도움말을 한번 읽어보셨으면 불필요한 수고를 덜었을 수도 있었겠습니다. 아니면 최근바뀜 페이지에 몇 주 전부터 공시된 사항을 주지하지 못하여군요. 이른바 '분류'라는 것은 여기서 끝에 따로 분류하여 써넣을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 --아흔(A-heun) (토론) 2009년 4월 28일 (화) 05:48 (UTC)

매번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의하면서 편집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4월 28일 (화) 05:56 (UTC)

한자 템플릿

안녕하세요. 한자를 붙이면 카테고리 한자어가 따라 붙습니다. 낱말사전에서는 편리성을 위해서 그와 같은 템플릿을 아주 많이 쓰고 있습니다.
오사카

  • 어원: [[{{{낱말1}}}#|{{{낱말1}}}]]. < 한자 (간지) 大阪

간단히 위와 같이 써넣으면 되겠네요. 또 잔소리 같아서 미안합니다 :) --아흔(A-heun) (토론) 2009년 4월 29일 (수) 04:04 (UTC)

도쿄 낱말에 쓰인 템플릿을 참고해서 사용했는데 잘 못 사용한 건가요? --Nuevo Paso (토론) 2009년 4월 29일 (수) 04:10 (UTC)
예전에 참여자가 아마 그렇게 잘못 편집한 것 같습니다. '도쿄', '오사카' 등의 일본어 지명의 어원이 한자에 있지만, 그러나 여기 낱말사전에서 말하는 한자어는 한국어에 국한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를 한국에서처럼 뚜렷이 구분하고 있는지 모르겠군요. --아흔(A-heun) (토론) 2009년 4월 29일 (수) 04:34 (UTC)
아,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4월 29일 (수) 04:37 (UTC)

삭제 대상 신청 및 옮기기

  • delete를 붙여서 삭제 신청을 하는 것은 삭제 토론이 필요 없다는 전제 하에서 하는 것입니다. 이때에는 신청한 삭제 대상 문서로 링크된 다른 문서의 링크를 (する) 미리 알맞게 수정하여야 합니다.
  • 실수로 철자를 잘못 써서 문서를 만들었을 때에는 되도록 옮기기를 하지 말고 바른 철자로 다시 새 문서를 만든 다음 (copy & paste), 틀린 철자의 문서는 곧바로 삭제 신청을 하세요. 그 이유는 옮기기를 하면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기록이 남습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5월 14일 (목) 10:17 (UTC)
아, 네, 주의하고 편집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5월 14일 (목) 10:24 (UTC)

문서 옮기기

낱말사전에서는 비슷한 말, 다른 표기 따위의 낱말을 옮기기하지 않습니다. 이는 비슷한 낱말이라 할지라도 각 낱말이 가진 뜻과 어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낱말사전의 각 표제어는 철자가 다른 낱말로 대체되어서는 않되기 때문입니다. (참조: 문서 옮기기)
'遇う', '逢う', '遭う'는 따로따로 풀이를 하시기 바랍니다. --아흔(A-heun) (토론) 2009년 7월 11일 (토) 10:12 (UTC)

예, 알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7월 12일 (일) 07:34 (UTC)

흐음.. 있는줄 몰랐네요

남아프리카공화국이라는 문서가 있는 줄 몰랐네요. 굳이 내용을 빼지 않아도 문서 옮기기를 통해 할 수 있는데 왜 굳이 모든 내용을 빼고 문서 이어주기로 하는 건지? --병맛빵 (토론) 2009년 9월 9일 (수) 07:11 (UTC)

문서 옮기기는 위키낱말사전에서 되도록이면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저는 위키낱말사전:문서 넘겨주기 지침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더 오래전인 2004년 12월 24일에 만들어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넘겨주기 처리한 것입니다. --Nuevo Paso (토론) 2009년 9월 9일 (수) 08:39 (UTC)

투표?

다른 낱말사전에서 아직 반응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공지를 한 것입니다. 누가 정한다고 내가 말을 하였습니까? 지금 시비를 거나요?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2일 (화) 05:50 (UTC)

죄송합니다. 시비거는 것이 아니었는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단지 일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건지 궁금했을 뿐입니다. 불쾌하셨다면 정식으로 사과드리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0년 2월 2일 (화) 05:58 (UTC)
이 편집은 다시 되돌려 놓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0년 2월 2일 (화) 06:00 (UTC)
현재 낱말사전의 로고는 아주 아주 귀찮은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영어 낱말사전의 독주 등등). 때문에 다른 낱말사전의 동향을 살피고 있는 중입니다.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흔(A-heun) (토론) 2010년 2월 2일 (화) 06:01 (UTC)
예, 알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0년 2월 2일 (화) 06:02 (UTC)

건의사항

보셨다시피 지금 한창 공사중인데 혹시 더 다듬어야 하거나 이건 좀 고쳐야 한다 생각되는 게 있으면 건의해주실 수 있으신가요?--Leedors (토론) 2016년 4월 4일 (월) 01:40 (KST)[답변]

예, 제가 자주 들어와 보지는 못하겠지만 그래도 틈틈이 시간 내서 확인해보고 고쳐야 될 것이 있으면 바로바로 건의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6년 4월 5일 (화) 22:45 (KST)[답변]

출처 표시의 방식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어떤 예문의 출처를 표시할 때, 위키백과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각주 (<ref>, <references>)를 쓰는 것이 맞을지, 위키사전 고유의 틀, {{따옴}}을 쓸지에 대해서는 저도 조금 왔다갔다 하다가, 저는 최근에는 각주를 쓰는 것으로 해왔습니다. 최근에 사용자께서 제 편집을 고치시면서 {{따옴}}으로 바꾸셨기에, 의견을 구합니다. 어느 것이 타당할까요? {{따옴}}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신다면, 아예 각주의 내용을 봇을 이용하여 모두 바꾸는 것은 어떨까합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6년 11월 6일 (일) 11:52 (KST)[답변]

네, 의견 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이건 어느 쪽이 맞고 그 반대쪽은 틀리다의 문제라기보다는 취향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따옴 틀을 사용하는 방법과 각주를 다는 방법 모두 가시성에 특별히 결함이 있는 것 같지도 않고요.(혹시나 해서 모바일 화면으로도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둘 중 어느 하나만을 고르기 힘드네요. 일단은 원하시는 방법대로 편집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당분간은 한자 문서의 편집에 참여하지 않겠습니다. 만약 참여하더라도 HappyMidnight님의 편집 방식을 참고하여 활동하겠습니다. '통일성'은 중요하니까요. Nuevo Paso (토론) 2016년 11월 6일 (일) 20:40 (KST)[답변]

“어린이날”은 직장에서 쓰는 말입니다. [2] [3] 참고로 하세요. — TAKASUGI Shinji (토론) 2016년 11월 26일 (토) 21:21 (KST)[답변]

다시 편집했습니다. 은어라는 것이 특정 계층, 특정 집단에서만 사용되는 표현이기 때문에 은어를 마치 보편적인 표현인 것처럼 나타내지 않도록 조심하고, 그것이 은어인지 아닌지 확실히 밝히면서 편집해야 된다고 생각이 들어서, 해당 문서 안에 확실히 은어라는 점을 밝혔습니다.
이전에 TAKASUGI Shinji님의 편집에서만으로는 이것이 직장 내 구성원들끼리만 사용하는 은어인지 확실하게 드러나보이지 않았다고 생각되네요. 은어 편집은 이 부분을 주의하면 될 것 같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6년 11월 27일 (일) 05:45 (KST)[답변]
편집 감사합니다. en:Template:label이나 fr:Modèle:argot 같은 “은어”라고 표시할 수 있는 틀이 있으면 좋은데 못 찾았습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6년 11월 27일 (일) 09:01 (KST)[답변]

의 편집 관련

안녕하세요? 문서에서 두 가지 뜻 풀이 ("그리고", "만약")를 사용자께서 삭제하셨더군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 해서 문의드립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6년 11월 27일 (일) 20:52 (KST)[답변]

여러 다른 사전을 찾아본 결과, '之'라는 글자가 중국어로는 해당 뜻을 가진다고 보기 힘들어서 지웠습니다. 한자나 한문으로는 해당 의미로 사용될지 몰라도 중국어(특히, 그 중에서도 표준중국어)의 뜻 풀이로서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서 그랬습니다. 만약 제가 잘못 편집한 것이라면 다시 되돌려주세요. Nuevo Paso (토론) 2016년 11월 28일 (월) 00:11 (KST)[답변]
음, "그리고"와 "만약"이 어떻게 중국어 단락에 들어가게 되었는지 알아 보기 위해 문서 역사를 훑어봤습니다. 이 편집 때 '그리고'와 '만약'이 추가되었고 나중에 합치신 거 였더군요. 두 뜻 풀이의 원 출처는 네이버 한자사전의 내용을 그대로 따온 것으로 보이고, 다른 중국어 사전들(#1, #2, #3)에서는 '그리고'나 '만약'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으니, 이건 한자 뜻 풀이를 중국어 쪽에 합치면서 발생한 편집 실수라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건 사족입니다만, HappyMidnight님이 편집하신 것처럼 다른 사전의 내용을 원저작자의 동의 없이 그대로 복사하면 저작권 침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물론, 이런 조그마한 정도의 내용 복사를 가지고 딴지를 걸 출판사가 현실에 존재할 리 없고, 위키 사이트가 비영리적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저작권법 상의 공정이용(fair use) 조항의 적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만 되도록이면 법률적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의견 남깁니다. 저도 현재 한국어 위낱에서 이런 식으로 다른 곳에서 가져온 내용을 그대로 복붙해서 만든 문서들이 여럿 있다는 것 잘 알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그것들을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만들어야 할 텐데 그게 언제쯤이 될지는 저도 감이 잘 오지 않네요. Nuevo Paso (토론) 2016년 11월 28일 (월) 01:18 (KST)[답변]
(1) 저작권 문제 : 내용 중의 일부는 그대로 붙여온 것이 있음을 시인합니다. 다만, 사전 저작물은 예술적인 저작물보다는 창작성을 인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도 있고 해서 저도 생각없이 그렇게 작업을 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앞으로는 가능하면 중국어, 영어, 일본어 판등을 참조하고 몇 개의 사전을 동시에 융합하여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기존의 낱말 풀이 내용 중에서 네이버 사전 등과 내용이 100% 일치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수정하거나, 아예 일단 삭제해 놓고 다시 작업을 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저도 엄두가 나지 않네요. (2) 중국어와 한문(또는 한자)의 분류 간에 최근들어서 고민이 생겼습니다. 과연 중국어와 한문 간의 명확한 구분이 가능할까 하는 것입니다. 예컨대 17세기 청나라 때 쓰여진 문헌은 중국어인가 아니면 한문인가 하는 것입니다. 중국어판과 영어판을 보니, 한자는 그냥 글자로 취급하고 여기에는 뜻 풀이를 하지 않고, 중국어 설명에서 비로소 뜻 풀이를 하고 있더군요. 물론, 논어나 맹자의 예문도 "한문" 항목이 아닌, 중국어 항목에서 적어 놓았구요. 다만, 일본어판은 현재 한국어판과 마찬가지로 한문 항목에 별도의 뜻 풀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之문서에서 한번 시범적으로 뜻풀이를 해 본 것입니다. 물론 다른 분들과 의견 교환이 우선되어야 했으나, 아시다시피 이곳의 활발한 사용자가 5명도 안되는 것 같아서 일단은 저질러 본 것입니다. 이에 대한, 귀 사용자의 의견도 궁금하고, 나아가 어찌 되었든 총의를 통하여 정책을 정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6년 11월 28일 (월) 09:58 (KST)[답변]
예, 결국 '한문'을 어디에 다룰 것인가의 문제인데, 경계선이 분명하지 않은 애매한 문제이긴 하네요.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논어>에 적힌 글은 중국어의 옛말에 해당하는 것이니 그곳 위키에서 중국어로 분류한 것이 이해는 됩니다. 저도 큰 틀에서는 한문적 내용은 중국어 단락에 기술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한자는 글자 자체의 풀이(뜻, 음, 획순, 간단한 용례 등)만 다루면 충분하다고 보고요. 다만 문서 안에서 뜻 풀이를 밝힐 때, 그 풀이가 옛 한문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중국어의 낱말 뜻으로도 실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오로지 한문 뜻으로만 그렇게 사용되었던 것인지 정도만 확실하게 적어두면 될 거 같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6년 11월 28일 (월) 12:53 (KST)[답변]
누에보 파소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자유게시판에도 제언해 보고, 최근에 활발히 활동하는 사용자분들 몇 분께도 의견을 구해 보겠습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6년 11월 28일 (월) 13:30 (KST)[답변]

Share your experience and feedback as a Wikimedian in this global survey


활용과 다의어에 대한 의견

'하다'에서 활용과 다의어를 삭제하셨던데, 어떤 사유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7년 2월 11일 (토) 08:44 (KST)[답변]

제가 어느 부분을 건드린 건가요? 빈 외국어 항목 간소화랑 전반적인 문서 정리만 했습니다. 활용과 다의어를 삭제한 게 어느 부분인가요? 못 찾겠습니다. 정확히 어떤 것을 말씀하시는 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7년 2월 11일 (토) 17:02 (KST)[답변]

line 문서의 그림 파일 삭제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line 문서를 편집하시면서, 그림 파일을 삭제하셨는데요, 어떤 까닭인지 궁금합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7년 12월 27일 (수) 10:41 (KST)[답변]

네, 의견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딱히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두 이미지의 위치가 다소 난잡하게 보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각 이미지가 관련된 뜻풀이가 서술된 줄에 맞추어 있었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요, 이미지의 크기가 너무 크다 보니 관련이 없는 다른 부분까지 침범하게 되는 게 보기 좋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그렇다고 크기를 너무 줄이면 이미지 자체를 인식하기 힘들고... 사실 이게 line 문서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문서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이긴한데, 영어판처럼 갤러리 하위 단락 개념을 도입해야 하는 때가 온 걸지도 모르겠네요. --Nuevo Paso (토론) 2017년 12월 27일 (수) 10:54 (KST)[답변]
네. 잘 알겠습니다. 이해하고 지지합니다. 갤러리 단락의 도입에도 찬성합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7년 12월 27일 (수) 11:22 (KST)[답변]

일본어 예문 표기에 대해서

일본어 예문 중에서 순전히 히라가나로만 이루어진 문장을 지우신 것을 이해는 합니다만, 일본어 학습자의 편의를 고려해서, "숨기기/보이기" 기능을 이용해서 예문의 히라가나 표기도 함께 수록하는 것은 어떨까요? HappyMidnight (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3:37 (KST)[답변]

루비 틀을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3:43 (KST)[답변]
루비 틀이 적용된 문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루비 문자가 보이거나 숨기게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세요? HappyMidnight (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4:37 (KST)[답변]
네이버 일본어사전의 후리가나 체크박스 옵션 같은 걸 말하시는 거군요. 예, 제대로 구현만 된다면 좋은 기능이 될 거라 봅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1월 17일 (수) 15:30 (KST)[답변]

문화어

타인의 편집을 정치적 올바름이라 단정한 채로 어떠한 논의를 시도하지 않고 되돌림만을 시도하고 있는 것과 그 이후에도 여전히 토론을 시도하지 않은 채로 편집을 강행하는 것에 심히 유감을 표합니다. 본론으로 들어와서 ‘문화어’ 그 자체는 ‘표준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둘이 포함되어 있는 언어를 조선어 혹은 한국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북한어’라는 말을 쓰는 지역이나 집단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러한 표기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은 SKPOV인 것으로 이는 지양해야 마땅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한국어/조선어 문화권(휴전선 이북, 중국 동북삼성, 일본,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이 언어를 대체적으로 조선어라고 부르고 있는 실정에도 불구하고, 현재 위키미디어 내 프로젝트들에서는 접근성을 이유로 한국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해당 언어의 명칭에 관해서만 그런 것이지 편집에 있어서 대한민국 중심의 편집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어’를 ‘조선어’라고 변경한 것도 아닌, 단순히 정식적인 명칭의 ‘문화어’를 ‘문화어’라고 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을 정치적 중립이라고 단정짓는 것부터가 상당히 불쾌한데, 이를 납득할만한 근거 없이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행동은 더이상 이해할 수 없으므로 그러한 편집은 즉각 중단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2월 11일 (일) 17:0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