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특수 문서 목록
편집
도움말
편집실
새 낱말 쓰기
사용자
자유게시판
질문방
검색
검색
보이기
기부
계정 만들기
로그인
개인 도구
기부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기여
토론
목차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처음 위치
1
한국어
2
일본어
일본어 하위섹션 토글하기
2.1
명사
3
중국어
중국어 하위섹션 토글하기
3.1
발음
3.2
명사
목차 토글
陸軍
12개 언어
English
Français
Magyar
日本語
Kurdî
ລາວ
Lietuvių
Malagasy
Polski
Русский
中文
閩南語 / Bân-lâm-gú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파일 올리기
고유 링크
문서 정보
이 문서 인용하기
축약된 URL 얻기
QR 코드 다운로드
Switch to legacy parser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
PDF로 다운로드
인쇄용 판
다른 프로젝트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위키낱말사전, 말과 글의 누리
한국어
[
편집
]
이 단어에 사용되는
한자
陸
軍
육군
항목을 참조.
일본어
[
편집
]
명사
[
편집
]
IPA
[
ɾʲikɯgɯn
]
히라가나:
りくぐん
로마자 표기: rikugun
육군
.
中
には、
陸軍
(
りくぐん
)
士官
学校
を
創設
して、
約
200
人
のベトミン士官を
養成
した
者
もおり、1986年には8人の
元
日本
兵
がベトナム
政府
から
表彰
を受けた。
중간에, 육군사관학교를 창설하여 약200명의 베트민 사관을 양성하기도 하여, 1986년에는 8명의 옛 일본인 병사가 베트남정부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중국어
[
편집
]
형태소 분석:
陸
(
lù
)
+
軍
(
jūn
)
간체:
陆军
발음
[
편집
]
표준어: lùjūn / ㄌㄨˋ ㄐㄩㄣ
민난어: lio̍k-kun
명사
[
편집
]
육군
.
仁師·仁願及羅王金法敏帥
陸軍
進
손인사·유인원 및 신라왕 김법민은 육군을 거느리고 나아갔다.
1145년
,
김부식
, 《
삼국사기
》, 〈
권28 의자왕 條
〉 (
漢文本
)
분류
:
한국어 한자어
중국어 명사
민난어
일본어 명사
일본어 한자어
숨은 분류:
IPA √
검색
검색
목차 토글
陸軍
12개 언어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