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assigned: U+ABFA–U+ABFF] | |
|
위키백과에 이 내용과 관련한 문서가 있습니다.
- 발음[가ː]
- 어떤 곳이나 무언가의 둘레 근처의 바깥 부분. 조사 '에'와 함께 쓰일 때가 많다.
- 가에 조심해서 가위질을 하다.
- 마을 가에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고 있다.
- 나 어린 구름들이 한나절 호수 가에 노닐다 간다. (따옴◄오장환, 《호수》)
- 그러니 그 행길 가에 그대로 우뚝 서 있을 맛이 없다. (따옴◄계용묵, 《율정기》)
- 가을 볕 엷게 나리는 울타리 가에 / 쓸쓸히 웃는 코스모스꽃이여! (따옴◄오일도, 《코스모스 꽃》)
- 아가리의 주변부.
- 발음[가ː]
- 옳거나 좋음.
- 회의 따위에서 안건에 대해 표결할 때 찬성하는 의사 표시.
- 저는 본 안건에 대해 가인지 부인지 결정하기가 힘듭니다.
- 성적이나 등급을 나누는 다섯 단계인 수, 우, 미, 양, 가 중에서 가장 낮은 등급.
- 어떤 행동이나 행위를 허용하거나 가능함을 이르는 말.
'1.'
- 영어(en): approval
- 일본어(ja):
|
|
'2.' 회의나 의회 따위에서 사용되는 찬성에 대한 짧은 표현
- 영어(en): (미국식) yea, (영국식) aye
- 일본어(ja):
|
|
- 서양 음계의 여섯 번째 이름.
- 유의어: 아(A)
- 복합어: 가장조(가長調), 가단조(가短調)
'1.'
- 영어(en): A (musical note)
- 일본어(ja): イ (音名)
|
- 중국어(zh): A (音名)
- 프랑스어(fr):
|
- (역사) 부여와 고구려에서 족장이나 고관을 일컬었던 말.
- 죄인에게 씌우는 형틀.
- (민법의 옛 호주제에서) 호적이 같은 친족 집단. 호주와 호주가 아닌 자로 구성된다.
- 짐승의 뿔로 만든 전통 악기.
- (역사) 제례에 사용했던 술잔.
'1.'
- 독일어(de): jia (Gefäß)
- 영어(en): jia (vessel)
|
|
- 한국 사람의 성씨 중 하나.
'1.'
- 영어(en): Ga (Korean surname)
|
|
- 일본의 가나 문자 중 하나, 'が / ガ'.
'1.'
- 영어(en): ga (Japanese script)
|
|
- (경상도 방언) '그 아이'.
- 어원: '가다'의 어간 '가-'와 어미 '-아'의 결합
- '가다'의 활용형.
- (경상도 방언) '가지다'의 활용형인 '가지고'의 변형. 보조동사 쓰임의 '가지고'도 포함된다.
- 저거 가 온나.
- 슈퍼 가 가 살 사와 가 싯쳐놔래이
가-
- (일부 명사에 붙어) '가짜', '거짓', '임시적인'의 뜻을 더한다.
- 성씨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서 그 성씨를 가진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그것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그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한다.
- (명사 뒤에 붙어서) 그것에 능한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그것을 많이 가진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그 특성을 가진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가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명사나 수사 뒤에 붙어서) '거리'나 '지역'을 뜻하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노래를 뜻하는 접미사.
- (명사 뒤에 붙어서) '값'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화학> (수사 뒤에 붙어서) 원자가(原子價)나, 이온의 전하를 나타내는 접미사.
- (받침 없는 체언 뒤에 붙어서) 그것이 하는 일의 주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 친구가 말해요.
- 제가 언제 방문을 해도 될까요?
- 날씨가 오늘은 제법 쌀쌀하군요.
- 컴퓨터가 말썽을 부려서 일을 못하겠다.
- 너보다 동생의 키가 좀 더 큰 것 같다.
- 김 첨지 당나귀가 가버리니까 온통 흙을 차고 거품을 흘리면서 미친 소같이 날뛰는걸. (따옴◄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 ('되다', '아니다' 앞에 쓰여) 바뀌게 되는 대상이나 부정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보격 조사.
- 철수는 사업가가 되었다.
- 그 고양이는 옆집에서 기르는 고양이가 아니다.
- 지금은 세계적 대도시가 된 동경에도 전후 10여년을 지내보았지만…. (따옴◄홍난파, 《목멱산하 고토에서 내 일생을 보내리라》)
- 더구나 그것이 힘만 있으면 누구든지 딸 수 있는 야생화가 아니고…. (따옴◄김내성, 《마인》)
- (받침이 없는 체언이나 부사 뒤에 붙어서) 앞말을 강조하는 보조사.
- 그의 글솜씨는 대개가 형편 없었다.
- 그러나 영영 미덥지가 못하니 불가불 어떻게든지 힘을 좀 써주어야 하겠다고. (따옴◄채만식, 《회》)
-가
- (경상도 방언) 받침 없는 체언 뒤나 '아이다'의 어간 '아이-'에 붙는 의문형 종결 어미. 비격식체이다. 서울말의 '-냐', '-야', '-니'에 대응한다.
- 참고: 받침 있는 체언 뒤에서는 '-이가'로 쓴다. 이 때의 '-이가'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형으로 보기도 한다.
- '가하다'의 어근.
- 다음 한자의 독음.
- ('ㅣ'나 ‘ㆎ’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서) 주체를 나타내는 격 조사.
- 多分 ᄇᆡ가 올 거시니 達見의 무러 보ᄋᆞᆸ소 (따옴◄첩해신어(원간본)(1676) 1:8)
- 심ᄒᆞᆫ 집은 병든 아ᄒᆡ가 비록 어육을 달라 ᄒᆞ야도 (따옴◄두창경험방(1636~74) 11)
- ᄎᆞᆫ 구ᄃᆞᄅᆡ 자니 ᄇᆡ가 세니러셔 ᄌᆞ로 ᄃᆞᆫ니니 (따옴◄언간(1571~1603) 3)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이거나, 'ㅣ'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서) '~인가'(~ㄴ가).
- 現前엣 六根ᄋᆞᆫ ᄒᆞ나카 여슷가 (따옴◄능엄경언해(1461) 4:104)
- 이ᄂᆞᆫ 賞가 罰아 (따옴◄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467) 53)
- 나랏 글이 다 浩의 ᄒᆡ온 바가 (따옴◄소학언해(1588) 6:41)
- 서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어미.
- 어느 ᄃᆞ리로 네 方便으로 나ᄅᆞᆯ 외오 혀다가 ᄧᅡᄀᆞᆯ 삼게 ᄒᆞ가뇨 (따옴◄분류두공부시언해(초간본)(1481) 16:1)
- 이제 ᄯᅩ 내 모ᄆᆞᆯ ᄃᆞ려다가 維那ᄅᆞᆯ 사모려 ᄒᆞ실ᄊᆡ 듣ᄌᆞᆸ고 깃거ᄒᆞ가니와 (따옴◄월인석보(1459) 8:93)
- 내 命 그추미ᅀᅡ 므더니 너기가니와 내 아ᄃᆞᆯ 悉達이와 버근 아ᄃᆞᆯ 難陁와 斛飯王 아ᄃᆞᆯ 阿難陁와 孫子 羅 雲이와 이 네흘 몯 보아 ᄒᆞ노라 (따옴◄월인석보(1459) 10:4)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이거나 'ㄴ', 'ㄹ' 뒤에 붙어) 물음을 표현하는 종결 어미.
- 마리ᄅᆞᆯ 갓ᄀᆞ시고 누비옷 니브샤 붓그료미 엇뎨 업스신가 (따옴◄월인천강지곡(1447) 120)
- 安否는 便安ᄒᆞ신가 아니ᄒᆞ신가 ᄒᆞ논 마리라 (따옴◄석보상절(1447) 11:4)
- ᄒᆞᆫ 疑心ᄋᆞᆫ 부톄 아니 다시 나신가 ᄒᆞ고 ᄯᅩ ᄒᆞᆫ 疑心ᄋᆞᆫ 다ᄅᆞᆫ 世界옛 부톄 아니 오신가 ᄒᆞ고 ᄯᅩ ᄒᆞᆫ 疑心ᄋᆞᆫ 阿難이 ᄒᆞ마 부톄 ᄃᆞ왼가 ᄒᆞ더니 (따옴◄석보상절(1447) 24:3~4)
- 公州ㅣ 江南ᄋᆞᆯ 저ᄒᆞ샤 子孫ᄋᆞᆯ ᄀᆞᄅᆞ치신ᄃᆞᆯ 九變之局이 사ᄅᆞᇜ ᄠᅳ디리ᅌᅵᆺ가 (따옴◄용비어천가(1447) 15장)
- 마ᅀᆞᆫ 사ᄉᆞ미 등과 도ᄌᆞᄀᆡ 입과 눈과 遮陽ㄱ 세 쥐 녜도 잇더신가 (따옴◄용비어천가(1447) 88장)
- '가(假)', '거짓', '가짜'의 옛말.
- 다른사ᄅᆞᆷ으로ᄒᆞ여뵈면곳眞이며假ᄅᆞᆯ보리라:着别人看便見眞假(朴解上64).
- '가(家)', '집', '집안'의 옛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