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낱말사전:자유게시판/2018년
◀ 2018년 ▶ | |||||||
새 주제 쓰기 | |||||||
- @뭉게구름, HappyMidnight, Nuevo Paso: 아래의 부분과 관련하여 최근 편집이 가장 많으신 3분께는 이와 같이 별도로 핑을 걸었습니다.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틀:국립국어원를 사용중인 문서들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을 베껴다가 사용중인 문서들을 일부 발견하였습니다. 현재 국립국어원에서는 우리말샘,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영어 학습사전에 수록된 내용만을 CC BY-SA 2.0 kr로 배포중이기 때문에 이와 동일한 라이선스로 배포하고 있지 않은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을 위키낱말사전에 옮겨다 쓰는 것은 저작권 침해입니다.
현재 해당 분류 속의 문서들이 다소 많아 전체적으로 확인하지는 못하였으나 그 내용이 더러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편집을 하시는 편집자분들께서는 저작권 침해를 발견하신다면 그 내용을 삭제 후 사용자:Garam/copyvio에 기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는 관리자가 없는 관계로 차후에 해당 내역들을 메타를 통해 특정판 삭제를 요청토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틀:국립국어원을 개편하여 변수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더 정확한 출처의 명시가 가능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예: special:diff/3640185) 문서 편집 시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5일 (월) 00:02 (KST)
- 이 부분은 큰 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 먼저 우리말샘이라는 사이트에 대한 설명을 좀 하겠습니다. 저 사이트는 국립국어원이 '일반인이 참여하는 국어 사전'라는 컨셉으로 만든 사이트인데, 누구나 편집 및 문서 생성에 참여할 수 있지만 변경 사항들은 모두 국립국어원의 검수관들의 검수를 거쳐야만 반영이 되는, 그런 시스템의 사이트입니다. 위키라기보다는 시티즌디움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네요.
- 하여튼, 저 사이트를 처음 기동할 때 뜻풀이 데이터를 따온 곳이 바로 표준국어대사전(이하 대사전)이였습니다. 사이트 개설 바로 직후에는 우리말샘과 대사전의 콘텐츠가 완전 동일했던 것이죠. 지금도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뜻풀이나 담고 있는 내용이 완전히 동일한 항목이 대부분입니다.
- 저작권 침해의 예시로 올린 '충일감'과 '썰매'의 경우, 둘 다 우리말샘 사이트 운영 초창기인 2016년 10월에 대사전에서 데이터가 옮겨진 뒤 한 번도 수정된 적이 없습니다.(충일감 001 링크, 썰매 001 링크, 썰매 002 링크)
- 이 위낱에 해당 뜻풀이를 입력한 편집자가 정확히 어떤 소스를 베낀 것인지는 아직 모릅니다(제 개인적으로는 대사전을 그대로 옮겨 만든 네이버 국어사전일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다만, 해당 뜻풀이들은 대사전을 베낀 것으로 볼 수 있음과 동시에 대사전을 베낀 우리말샘을 베낀 것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말샘의 저작권 관련 규정만 잘 지켜준다면, 저작권 침해나 저작권법 위반 문제는 발생할 일이 전혀 없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3월 5일 (월) 03:05 (KST)
- 확실히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을 우리말샘으로 옮긴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그 내용이 다소 일치하는 부분은 있으나 그것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국립국어원 자체에서 우리말샘 내에 생성한 단어도 존재하며, 문서별로 예문이 다르거나 혹은 그 양에 차이가 있거나, 미묘한 차이#1, #2를 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더 큰 차이가 없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우리말샘은 위키낱말사전과 다소 비슷한 형식으로 운영중인데 편집 이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일반 편집자도 편집이 가능한 것으로, 모든 문서에 있어서 일부 편집자가 표준국어대사전의 글을 그대로 옮겨온 문서가 전혀 없다고 단정 지을 수도 없습니다.(검수에 상당한 시일이 걸리기도 합니다.) 무엇보다도 현재 국립국어원은 자 사이트의 저작권 라이선스를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중(표준국어대사전 사이트의 내용이 공공누리를 따르느냐는 별개입니다.)이고, 위의 세 사이트는 CC BY-SA 2.0 kr로 배포하고 있는데 이 둘이 호환하는가 이전에 공공누리 라이선스 자체가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로는 부적합하다라는, 즉 자유롭지 못하다라는 것에 관한 논의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을 옮겨오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이 듭니다. 사실 과거에 라이선스와 관련하여 국립국어원에 문의를 해본 적이 있으나 출처를 밝혀준다면 가능할 것이라는 답변만 받고 라이선스에 관한 확답은 받지 못하였던 적이 있어 개인적으로 다소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5일 (월) 03:40 (KST)
- 참고하겠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3월 5일 (월) 08:45 (KST)
- 다음주 중에 해당 문서에 표기된 문서를 확인해서 삭제하겠습니다. (일단 이번 주는 제가 일이 있어서요.) — regards, Revi 2018년 3월 7일 (수) 00:30 (KST)
어원
[편집]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낱말 문서들 내 어원 대다수가 국립국어원의 기호의 제7항의 형식을 일부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한국어 낱말의 경우에는 해당 링크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는 그 어원이 사용된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김치나 나비처럼 그 시대(세기)를 명시한 문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또한 그 표기 형식이 국립국어원의 방식과는 다소 차이를 보입니다. 이외에도 편집자에 따라 다소 여러 방식으로 쓰이는 것들이 존재(예: ancient(화살표의 종류), bursa(파생어 부분에 응용하였으나 어원의 서술 방향이 반대) 등)하는데 다만 기존 지침인 위키낱말사전:어원 풀이는 어떻게의 영향(예: green)이 여기에 그렇게까지 크게 영향을 미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통일성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기에 지침을 새로이 정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직관성만을 따진다면 en:apple과 같이 어느 언어에서 각기 유래하였고 차용하였다라고 각각 명시하는 것이 직관적일 것이나, 단순함만을 따진다면 국립국어원의 방식(+ 해당 어원의 시기(예: 중세 한국어)나 시대를 병기)이 단순하다고 보이는데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덧붙여 현재 한자어나 복합어 등의 경우에 좀 더 명확하게 쓸 수 있는 틀을 준비중인데 이와 관련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8일 (목) 02:27 (KST)
- 어원 표기에 관련해서는 별 다른 지식이 없으므로 의견을 달기는 어렵지만 어원 틀과 관련해서 하나 의문점이 드는 것이 있습니다. 가령 가부좌같은 경우 어원이 가부+좌인데 가부/좌 두 개의 낱말로 나누어서 어원을 표시해야 하는지, 아니면 전부 파자하여(가/부/좌) 표시하여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한림 (토론) 2018년 3월 17일 (토) 00:49 (KST)
- @한림: 그 경우에는 인간미(인간 + 미)처럼 가부 + 좌로 나눠서 표기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17일 (토) 01:01 (KST)
- 단일어(인간)는 파자, 복합어(인간미) 제외는 어떻습니까!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3월 17일 (토) 07:52 (KST)
- 좋은 방법이네요. 참고하겠습니다. --한림 (토론) 2018년 3월 17일 (토) 09:19 (KST)
- @뭉게구름: 제외라 하심은, ‘복합어’의 경우에 어원을 명시하지 말자는 말씀이신가요? --Garam(논의) 2018년 3월 17일 (토) 18:18 (KST)
- 복합어는 파자에서 제외하고, '인간 + 미 (한자 人間味)' 정도를 유지하자는 말이었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3월 19일 (월) 08:09 (KST)
- 동의합니다. 참고로
{{어원}}
에서언어=한국어 한자
를 사용하면 언급하신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20일 (화) 00:35 (KST)
- 동의합니다. 참고로
- 복합어는 파자에서 제외하고, '인간 + 미 (한자 人間味)' 정도를 유지하자는 말이었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3월 19일 (월) 08:09 (KST)
- 어원 틀을 수 차례 사용하여 느낀 바, 한국어 한자의 어원 표기에는 확실한 편리성이 있습니다. 다만 그 외의 다른 언어에서는 별 다른 편리성을 느끼질 못하겠네요. 고대-중세 언어의 변천을 함께 표시하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한림 (토론) 2018년 3월 20일 (화) 01:22 (KST)
- 고대 언어 역시
유래언어
를 통해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일 아쉬운 부분이 있을 경우에 그 부분을 말씀해주시면 그 또한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20일 (화) 02:49 (KST)- 아, 그러네요. 사용 가능하군요. 단 어원의 변천 과정 같은 경우는 수동으로 써야 한다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이게 어딘가요. --한림 (토론) 2018년 3월 20일 (화) 23:32 (KST)
- 고대 언어 역시
인터위키
[편집]문서들을 살펴보다 보니 인터위키 링크가 포함된 문서들이 아직 상당하네요. 이미 자동화 작업으로 처리되고 있는데 말이죠. 봇으로 처리해야 할 듯 싶네요. --한림 (토론) 2018년 3월 19일 (월) 02:01 (KST)
- 봇으로 일괄 처리해도 되긴 하지만, 당연하게도 인터위키가 달려있는 문서들은 정비가 필요한 문서이기도 해서 수작업으로 정비하면서 지우는 거나, 봇으로 빼는 거나 사실상(...)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3월 19일 (월) 03:16 (KST)
한자 및 한자어
[편집]@Nuevo Paso, HappyMidnight, TAKASUGI Shinji: (이와 관련하여 직·간접적으로 기여가 있는 분들은 이처럼 따로 호출하였습니다.)
한자(어) 관련 분류를 개편 중에 인터위키도 다소 꼬여 있고 하여 이를 정리하던 차에 다소 의견 조율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와 관련한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제 의견을 새로이 정리하여 말씀드리자면, 현재 분류:한국어 한자어는 w:한국어의 한자어에 해당하는 분류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한문으로 쓰인 낱말만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분류:한국어 한자어 분류에는 현재 분류:한국어 한자 표기에 속한 문서들로 변경하고 기존의 분류:한국어 한자어에 속한 문서들은 분류를 제거함이 적합해보입니다. 즉, 다음과 같이 정리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합니다.(아래에 명시한 분류 안의 인터위키는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판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서를 분류 옆에 같이 병기하였습니다.)
참고로 영어판의 경우에는 다소 그 분류법이 다른 언어판들과 상이한 부분이 더러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영어판을 토대로 분류를 정리하지 않고 일본어판, 중국어판을 참고하여 이와 같이 분류 개편을 하였으면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1:59 (KST)
- 분류:한국어 한자에는 "한 글자의 한자로서 한국어 속에서 사용되는 한자"로 정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외에 이견 없습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2:33 (KST)
- 그 점을 언급한다는 것을 깜빡하였네요.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2:41 (KST)
- '분류:한국어 한자어'에 한문으로 쓰인 낱말만을 담는 것에 반대합니다. 국문(한글)으로 쓴 경제, 정치, 발산, 정의, 신화 같은 단어도 모두 다 한자어입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2:37 (KST)
- 한자어는 기본적으로 한자로 적힌 말을 의미합니다. 말씀하신 것들은 전부 한자어를 한글로 적은 한국어일 뿐, 그 자체로 한자어로 볼 수는 없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2:41 (KST)
- 네, 그걸 잘못 알고 계신 겁니다. 만약 제 말이 틀린 것 같다고 생각한다면 권위 있는 기관에 Garam님이 직접 문의에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Garam님과 의견이 다른 사람이 저만 있는 건 아닌 것 같아서 토론을 발제하신 분이 설득력 있게 근거를 제시해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3:03 (KST)
- 옆동네 정책이긴 합니다만, 한국어 위백에서는 "기존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가정하여 부여"하는 행위를 독자연구의 대표적 예시로 적어 놓았네요. 지금 말씀하시는 주장이 다른 이에게는 독자연구로 비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3:27 (KST)
- Special:diff/3707757에서 독자연구를 하지 말 것을 부탁드린 바 있는데, 되려 저에게 이것이 독자연구다라고 한다면 드릴 말씀은 없을 것 같습니다. 부디 냉정하게 토론에 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해당 분류 안에 한자와 한글 낱말을 병기하는 방안 혹은 새로이 하위 분류를 생성하여 한글 낱말만을 포함하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3:39 (KST)
- 이 링크에 있는 내용 보기를 눌러 보니 '고유어 여부 - 한자어'라고 되어 있네요. 우리말샘에서는 '보호'를 한자어로 보고 있네요.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3:46 (KST)
- 이 문단의 첫 문장도 다음과 같이 써 있네요.
한자어는 한자로도 한글로도 표기할 수 있다.
Garam님 말씀이 맞다면 이 내용은 틀린 것이 되는데, 지금까지 아무도 수정을 안 했네요.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3:53 (KST)- (편집 충돌) 이는 해당 한자 낱말 자체가 한자어라는 이야기가 아닙니까. 이는 ‘낭만’이라는 낱말은 한국어지만 그 ‘浪漫’이란 원래의 한자 낱말 자체는 로맨스에서 비롯된 일본어인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와 관련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에 대해서는 답변이 없으셔서 그 의사를 알기 힘듭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3:57 (KST)
- 분명 대안을 제시해드렸음에도 이렇게 비아냥 거리는 연유를 알기 힘듭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3:58 (KST)
- 덧붙여서 위키백과를 출처로 제시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출처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더욱이 해당 문장에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합한 근거로 보기 힘듭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적힌 한자어는 한자 낱말을 토대로 하고 있음을 생각하셔야 할 것입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0일 (화) 00:04 (KST)
- 죄송합니다만, 해당 위백 문서를 주장의 근거로 먼저 제시한 분은 바로 Garam님입니다. 위에 있는 글이 바로 보이니 이 점은 바로 확인하실 수 있을 거라 봅니다. 그리고 비아냥 거릴려고 한 게 아닌데 다소 말투가 그렇게 보이도록 적은 건 사실이네요. 제 원래 의도는 그렇지 않았으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0일 (화) 00:15 (KST)
- 우리말샘 원어 통계에 따르면 우리말샘에는 29만 개가 넘는 한자어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는데, 우리말샘에는 한자로 된 표제어가 하나도 없고 표제어는 전부 다 한글로 되어있습니다. Garam님 정의에 따르면 우리말샘에는 한자어가 하나도 수록되지 않았다고 나와야 하지 않나요? 제가 틀리게 알고 있는 건가요?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0일 (화) 00:34 (KST)
- 그야 보고 계신 사전은 한글로 된 한국어 사전이니까요. 그리고 당연히 가나로 된 일본어 사전에는 한자어가 가나로, 꾸옥응으로 된 베트남어 사전에는 한자어가 꾸옥응으으로 적혀 있겠죠. 이와 관련해서는 #1, #2, #3의 내용이 이해에 다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0일 (화) 01:05 (KST)
- 예, 그러니까 한글로 된 한국어 사전이 한글로 된 표제어를 한자어로 인지하고 그러한 낱말들을 한자어로 통계를 낸 것이 당연하다고 말씀하신 거네요. 결국 한글로 쓴 한자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하신 거군요. 알겠습니다, 이해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0일 (화) 01:17 (KST)
- @Nuevo Paso: 여전히 일부 부분에 대해서는 오해를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앞서 몇 차례 말씀드렸다시피 제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한국어 한자어는 기본적으로 한문에서 비롯된 한국어이기 때문에, 해당 분류에는 기본적으로 한문에서 비롯된 한자로 쓰인 낱말만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 문단의 가장 처음에서 언급한 부분입니다.#4 하지만 저는 그 어디에도 한자어를 한글로 쓸 수 없다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한자어는 앞서 걸어드린 링크에도 나오다시피 ‘한자의 결합’이자, ‘한자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기본 토대는 ‘한자’입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분류:한국어 한자어에 한자로 된 낱말만 담는 것이 올바르다는 것입니다. 제 말의 요지를 일부 오해하고 계신 것일 뿐, 이 부분에 있어 제가 입장을 선회하였다거나 한 부분은 전혀 없습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제안했다시피 한글로 된 한자어의 경우에도 별도의 분류로 정의할 수는 있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0일 (화) 01:36 (KST)
- 예, 그러니까 한글로 된 한국어 사전이 한글로 된 표제어를 한자어로 인지하고 그러한 낱말들을 한자어로 통계를 낸 것이 당연하다고 말씀하신 거네요. 결국 한글로 쓴 한자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하신 거군요. 알겠습니다, 이해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0일 (화) 01:17 (KST)
- 그야 보고 계신 사전은 한글로 된 한국어 사전이니까요. 그리고 당연히 가나로 된 일본어 사전에는 한자어가 가나로, 꾸옥응으로 된 베트남어 사전에는 한자어가 꾸옥응으으로 적혀 있겠죠. 이와 관련해서는 #1, #2, #3의 내용이 이해에 다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0일 (화) 01:05 (KST)
- Special:diff/3707757에서 독자연구를 하지 말 것을 부탁드린 바 있는데, 되려 저에게 이것이 독자연구다라고 한다면 드릴 말씀은 없을 것 같습니다. 부디 냉정하게 토론에 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해당 분류 안에 한자와 한글 낱말을 병기하는 방안 혹은 새로이 하위 분류를 생성하여 한글 낱말만을 포함하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3:39 (KST)
- 옆동네 정책이긴 합니다만, 한국어 위백에서는 "기존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가정하여 부여"하는 행위를 독자연구의 대표적 예시로 적어 놓았네요. 지금 말씀하시는 주장이 다른 이에게는 독자연구로 비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9일 (월) 23:27 (KST)
- ┌─────────────┘
- 네, 그렇군요. 말씀하신 바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힘들어 제가 잘못 알았습니다.
- 지금 하고 계신 것처럼, 한글로 쓴 '간격', '도덕', '만능', '조립' 같은 단어를 분류:한국어 한자어의 직속 하위 분류인 분류:한국어 한자어 독음에 속하도록 하는 것에 이의 없습니다. 한글로 쓴 표제어도 한자어로 인정하게 되셔서 다행입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2일 (목) 22:32 (KST)
- 이해해주셔서 다행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한글로 적힌 한자어가 존재할 수 없다고 한 적은 전혀 없으므로 이를 인정하게 되었다고 계속해서 말씀하시는 부분은 여전히 납득하기 힘듭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2일 (목) 22:58 (KST)
- 분류 이름으로 '한자어 독음'을 사용하고 이 분류가 '한자어' 분류의 하위 분류에 속하도록 하셨다는 건, 곧 '이 분류에 속하는 낱말들은 한자어입니다'하는 것과 의미가 상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Garam님께서 인정하신 줄 알았습니다. 조류이면서 또한 그 자체로 동물이기도 한 '송골매'가 동물 분류의 하위 분류인 분류:한국어 조류에 속해 있는 것처럼요. 아, 그러면 Garam님은 '한국어 한자어 독음'을 '한국어 한자어의 독음(이지만 한자어 자체는 아님)'이라고 생각하시는 거군요. 네, 그렇게도 볼 수 있겠네요. 상관없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2일 (목) 23:27 (KST)
- 뭔가 여기에 다른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애초에 인정하고 안 하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처음부터 여지껏 한글로 적힌 한자어는 한자어가 아니라고 한 적이 없어요. 요지는 한자어는 본디 한자로 된 말이기 때문에 그 기본은 한자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나라나 지역에 따라 그것을 표현하는 게 한자에 국한된 것은 아니겠죠. 이 이야기는 이미 위에서 했었습니다. 다만, 그것을 읽는 방법이 그 나라나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고, 그렇기에 이를 위해 현재 이 문단을 열었던 것이며, 이를 토대로 현재 분리를 하고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2일 (목) 23:52 (KST)
‘한국어 한자어’라는 것은 w:한국어의 한자어에서 볼 수 있듯이 한글이 아닌 한자로 적힌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Garam 4월 9일 18:59
말씀하신 것들은 전부 한자어를 한글로 적은 한국어일 뿐, 그 자체로 한자어로 볼 수는 없습니다. -Garam 4월 9일 22:41
처음부터 여지껏 한글로 적힌 한자어는 한자어가 아니라고 한 적이 없어요. -Garam 4월 12일 23:52
- 주장하시는 내용이 오락가락하여 제가 개인적으로 혼란스러웠던 것이였습니다. Garam님의 행동을 곡해하려고 했거나 편집 활동을 방해하려고 했던 의도는 전혀 없었으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6일 (월) 18:46 (KST)
- 뭔가 여기에 다른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애초에 인정하고 안 하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처음부터 여지껏 한글로 적힌 한자어는 한자어가 아니라고 한 적이 없어요. 요지는 한자어는 본디 한자로 된 말이기 때문에 그 기본은 한자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나라나 지역에 따라 그것을 표현하는 게 한자에 국한된 것은 아니겠죠. 이 이야기는 이미 위에서 했었습니다. 다만, 그것을 읽는 방법이 그 나라나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고, 그렇기에 이를 위해 현재 이 문단을 열었던 것이며, 이를 토대로 현재 분리를 하고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2일 (목) 23:52 (KST)
- 분류 이름으로 '한자어 독음'을 사용하고 이 분류가 '한자어' 분류의 하위 분류에 속하도록 하셨다는 건, 곧 '이 분류에 속하는 낱말들은 한자어입니다'하는 것과 의미가 상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Garam님께서 인정하신 줄 알았습니다. 조류이면서 또한 그 자체로 동물이기도 한 '송골매'가 동물 분류의 하위 분류인 분류:한국어 조류에 속해 있는 것처럼요. 아, 그러면 Garam님은 '한국어 한자어 독음'을 '한국어 한자어의 독음(이지만 한자어 자체는 아님)'이라고 생각하시는 거군요. 네, 그렇게도 볼 수 있겠네요. 상관없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2일 (목) 23:27 (KST)
- 이해해주셔서 다행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한글로 적힌 한자어가 존재할 수 없다고 한 적은 전혀 없으므로 이를 인정하게 되었다고 계속해서 말씀하시는 부분은 여전히 납득하기 힘듭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2일 (목) 22:58 (KST)
- @뭉게구름: Special:diff/3707805의 의견에 따라 부득이하게 호출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의견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9일 (월) 23:39 (KST)
- 무엇이 쟁점인지 파악이 어려워 별도로 추가합니다.
- 한자어는 한자를 차용했든 뭘했든 한자로 표기할 수 있으면 한자어로 분류하면 된다는 생각입니다. 분류명이 문제라면 한자표기어를 제안합니다! 뭉게구름 (토론) 2018년 4월 11일 (수) 18:39 (KST)
- @뭉게구름: 주된 쟁점은 분류에서 ‘한자’에는 낱개로 된 한자 낱말을, ‘한자어’에는 둘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낱말을 포함시키자는 것과, 이것에 있어 ‘한글’로 된 ‘한자’와 ‘한자어’를 해당 분류에 동일하게 포함시킬 것인지 혹은 별도의 하위 분류로 구별할 것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1일 (수) 18:49 (KST)
다들 놓치시고 있는 부분이 한 가지 있는 것 같아서 말씀드립니다. 한자어에는 1음절로 된 단어들도 있습니다. 한국어 기준으로, 1음절 한자어의 대표적인 예시로 강(江), 검(劍), 산(山), 차(車), 차(茶), 폐(肺), 혼(魂) 같은 것들을 들 수 있겠습니다. --Nuevo Paso (토론) 2018년 4월 14일 (토) 11:46 (KST)
문서 내 한자 문단
[편집]문서 내 ‘한자’ 문단에서 기존의 틀:한자 활용을 토대로 만들어진 부분(례)을 분류:한자 활용을 사용하지 않을 목적(사용자토론:HappyMidnight#분류:한자 활용 참고)으로 새로이 대체(례)하려고 하는데 이 부분에 관하여 의견을 받고자 합니다. 참고로 원래 en:Template:character info/new를 들여오려 하였으나 번잡할 뿐, 대부분의 언어판에서 사용되지 않음을 고려하여 제외하였고, 새로이 만든 문단은 기존의 프랑스어판 문서 fr:國을 참고하였습니다. 다소 미비한 부분이 있어 이에 관하여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4일 (토) 17:24 (KST)
- 새로 만든 틀에 있어서 일본어의 발음을 명기할 때 "음독"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이 언어 간의 비교에 있어서 의미가 더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기존 틀보다 보기 좋네요. HappyMidnight (토론) 2018년 4월 14일 (토) 17:51 (KST)
- @HappyMidnight: 아, 무심코 くに라고 써버렸네요. こく로 대체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4월 14일 (토) 19:32 (KST)
분류:한국어 비표준어 및 분류:한국어 비표준 합성어 분류를 삭제하였으면 합니다. 그 이유는 표준어가 아닌 문서를 굳이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과거 위키낱말사전의 잔재이자 SKPOV(대한민국 중심주의)이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리고 포함되어 있는 문서들은 크게 1. 오기(예: 떡뽁이; 공신력 있는 사전이나 혹은 대중적 사용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틀린 것이 맞습니다.) 2. 공신력 있는 여러 표기법에 따른 외래어 혹은 외국어(예: 낑깡) 3. 신조어(예: 강퇴)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각에 해당하는 분류가 존재하는 시점에서 굳이 비표준어로 분류되어야 하는 마땅한 이유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만일 크게 반대가 없다면 봇을 통해 일괄적으로 분류를 제거할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5월 1일 (화) 10:51 (KST)
- 분류:한국어 비표준어의 문서를 적정한 분류로 다 옮길 수 있다면 찬성입니다.
- 분류:한국어 비표준 합성어는 관리용이었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5월 21일 (월) 08:20 (KST)
- 해당 분류:한국어 비표준어 분류의 모든 문서를 다른 한 분류로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각기 적합한 분류로 변경할 수는 있습니다. 물론 다른 분류로 대체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분류만 삭제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은 없겠지만요. --Garam(논의) 2018년 5월 21일 (월) 08:50 (KST)
- 분류:한국어 비표준 합성어는 관리용이었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5월 21일 (월) 08:20 (KST)
관리자
[편집]현재 삭제 신청된 문서만 300개가 넘습니다만, 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는 관리자가 없고 저는 다른 위키 일에도 신경을 써야 해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요청에 신경을 쓰기 힘듭니다. 이상적으로는 로컬에서 누가 관리자로 선출되는 것입니다만, 관리자가 선출되지 않는다면 언제 한 번 분류:삭제 대상 분류에 대해 검토 후 대량으로 삭제를 진행하겠습니다. — regards, Revi 2018년 5월 1일 (화) 20:14 (KST)
- 뭐, 누구든 관리자에 출마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면 진작에 출마하지 않았을까 싶지만요.(물론 그 파이가 좀 작습니다.) 그것과는 별개로 관리자 선거 지침의 경우에는 다소 일부분을 개정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긴 하네요. --Garam(논의) 2018년 5월 2일 (수) 18:17 (KST)
일괄 삭제
[편집]삭제 신청된 문서를 일일히 분류할 시간과 능력이 안 되므로 7월 7일 이후에 봇으로 해당 분류를 (삭제해서) 비우도록 하겠습니다. 삭제되어서는 안 되는 문서, 삭제에 대한 이의가 있는 문서는 삭제 틀을 빼고 토론하시기 바랍니다. — regards, Revi 2018년 6월 30일 (토) 17:42 (KST)
- 에, 삭제에 관해 이의가 있느냐도 각기 분류를 해봐야 아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Garam(논의) 2018년 6월 30일 (토) 18:51 (KST)
- 삭제를 하는 데 이의가 있으시면 있다고 말씀하십시오. — regards, Revi 2018년 6월 30일 (토) 19:43 (KST)
- 삭제 신청이 쌓이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그렇기에 정리가 필요하다고 보기에 삭제가 필요하다는 대전제에는 이의가 없지만, 검토 없이 일괄 삭제가 이루어진다면 삭제로 얻을 수 있는 득보다는 혹여 삭제되어서는 안 되는 문서가 삭제되어 발행하는 실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일단은 방법에 대해 좀 생각을 해보아야 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6월 30일 (토) 21:11 (KST)
- 삭제를 하는 데 이의가 있으시면 있다고 말씀하십시오. — regards, Revi 2018년 6월 30일 (토) 19:43 (KST)
- 기존의 삭제 신청된 문서에 대한 정리가 모두 끝났음을 알립니다. --Garam 논의 2018년 10월 11일 (목) 00:29 (KST)
AdvancedSearch
[편집]Birgit Müller (WMDE) 2018년 5월 7일 (월) 23:53 (KST)
위키백과로부터 기여헌장, 반스타 시스템 도입?
[편집]제목 그대로 위키백과로부터 위 제도를 도입해서 상호 격려로 인한 참여 욕구를 고취시켜보는 것은 어떨까요? 물론 약간 손을 봐야겠지만 말입니다.
예) 등록 에디터 메달 → 등록 단어 등록자 메달 1회 편집,가입으로부터 1일 경과 → 단어 1개 등록
편집 수는 오타 1개만 고쳐도 올라가지만 단어 등록은 비교적 어렵기 때문에 바꿔봤습니다.
- 추신: 원활한 의견 교환을 위해 @뭉게구름, @HappyMidnight, @Nuevo Paso @Garam
@TAKASUGI Shinji @옐로보이 님들께 핑을 겁니다. Kenlee77(토론) 사용자가 2018년 5월 8일 (화) 21:31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Garam 사용자가 2018년 5월 9일 (수) 00:58 (KST)에 추가하였음.
- 핑이 뜨지 않은 것은 차치하고, 본론으로 곧장 들어가자면 기여헌장의 경우에는 굳이 도입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각기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경험상 한국어 위키프로젝트들에서 헌장과 관련하여 권위주의 등 여러 문제들을 보아왔었기에 헌장 도입에는 다소 회의적입니다. 그와는 별개로 반스타는 굳이 도입이라고 말할 것 없이 그냥 써도 무방하다는 입장이지만, 만일 이를 문서로 체계를 갖추고자 하는 거라면 위키낱말사전:반스타를 영어판 초안인 en:Wiktionary:Barnstars 등을 참고하여 생성히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될 것 같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5월 9일 (수) 00:58 (KST)
아, 죄송합니다. 타 사용자분들께도 핑을 다시 걸었습니다.
일단 간단히
- 전반적인 상황에서 수여할 수 있는 '오리지널 반스타'
- 눈에 잘 띄진 않지만 묵묵히 작업을 이어나가시는 분께 드리는 '투명 반스타'
- 협업이 결실을 이룬 경우의 '협업 반스타'
- 좋은 틀을 만든 분께 수여하는 '틀 반스타'
- 반달리즘을 막아낸 분께 수여하는 '수호자 반스타'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좋은 의견 있으면 말씀해주십시오.
추신: 곧 있으면 위낱에 30만 번째 단어가 수록되겠군요.--Kenlee77 (토론) 2018년 5월 11일 (금) 21:04 (KST)
- ‘@’를 적느냐 마느냐는 핑이 걸리느냐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현재 위키낱말사전의 상황으로서는 반스타가 크게 쓰일 것으로 보이지 않지만, 도입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생성해도 무방해보입니다. --Garam(논의) 2018년 5월 11일 (금) 21:12 (KST)
완료 위키낱말사전:반스타를 생성하였습니다. 의견과 도움의 손길은 감사히 받겠습니다.--Kenlee77 (토론) 2018년 7월 8일 (일) 13:53 (KST)
- 언어별 반스타에 국기가 있는 연유를 모르겠네요. 언어와 국가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만일 이를 동일하게 보려 한다면 영어는 영국 국기와 동일시 해야 하는 걸까요? --Garam(논의) 2018년 7월 8일 (일) 16:23 (KST)
그렇습니다. 독일,일본처럼 발상지가 언어명에 드러나는 경우는 국기 표시하고 중국의 방언은 지역을 나타낸 지도와 함께 반스타를 함께 나오도록 만들면 되겠지요. 아랍어도와 스타를 조합하면 되겠네요. 반면 국기를 다는 것이 꺼려지신다면 주요 사용 지역을 표시한 지도와 반스타를함께 조합하도록 일괄적으로 규칙을 정하시는 것도 좋지만 이럴 경우 직관적이지 않아서 말이죠. 그렇다고 각 언어의 첫 글자와 스타를 조합하자니 유럽어는 거의 동일한 표기 체계인지라 구분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래서 저는 국기 표기 가능한 것만 달고 일부만 사용지역 지도를 달았으면 합니다.--Kenlee77 (토론) 2018년 7월 8일 (일) 19:46 (KST)
- 이해하기 힘듭니다. 모든 언어가 특정 지역이나 나라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도 아니고, 또 그렇게 될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언어의 발상지가 존재한다는 관점은 국가주의적 발상입니다. 한국어의 발상지가 대한민국이라면, 그 한국어라는 것은 고대부타 중세까지의 한국어를 무시하는 것이며, 재일조선어나 고려말 역시 무시하는 것이 됩니다. 더욱이 라틴어나 에스페란토는 국가에 따라 나뉘지 않으며, 스위스만 하더라도 다양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7월 8일 (일) 20:49 (KST)
뭐, 그렇다면 가람님께서는 더 좋은 개선 방안이 있으십니까? 언어별 반스타의 상징으로 쓰일만한 그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이 좋겠습니까? --Kenlee77 (토론) 2018년 7월 8일 (일) 23:41 (KST)
- 문자 한 글자를 따는 방법이 있겠으나, 현재 개인적 사정으로 그러한 반스타 종류가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며, 그리고 여유가 없어 당장 만들어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7월 9일 (월) 09:05 (KST)
아니면 각 언어 명칭을 그 언어로 쓰는 것은 어떻습니까? 가령 영어-English 중국어-汉语 독일어-Deutsch 아랍어-العربية 식으로 표기하고 반스타만 부착하면 됩니다. 단, 저는 만드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다른 분께 부탁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업로더 권한도 없고요.--Kenlee77 (토론) 2018년 7월 16일 (월) 20:55 (KST)
- 단순히 현재의 언어별 반스타에 topic 값에 언어를 넣는 식으로 수여하는 것도 무방해보이네요. 그나저나 찾아보니 위키낱말사전 공동체의 어떠한 동의 없이 통보 형태로 위키낱말사전 내 올리기 권한을 관리자에 한정시키고서 일반 사용자들은 공용을 통해서 올리도록 만들어놨었군요. --Garam 논의 2018년 7월 16일 (월) 21:06 (KST)
자매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의견 수렴
[편집]안녕하세요. 올해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총회는 자매 프로젝트 지원 활동에 대한 지원 활동을 의결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협회는 자매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사용자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문제
- 위키백과에 비해서 떨어지는 자매 프로젝트의 활성도 (위키문헌, 위키낱말사전 등)
- 목적
- 자매 프로젝트의 활성화 지원
- 자매 프로젝트의 목적에 맞는 콘텐츠 수집
- 예시
- 새로운 프로젝트 (문헌 스캔 프로젝트)
-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 개최
--Motoko C. K. (토론) 2018년 6월 5일 (화) 17:42 (KST)
- 예시만을 봐서는 정확히 어떠하게 지원해준다는 것인지는 잘 이해하지 못하였으나, 우선적으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나아가 수어 사전까지)의 내용을 우리말샘의 저작권 라이선스 혹은 그보다 더 자유로운 라이선스로 사용가능하도록 협의를 하는 부분이라 여겨지고, 근미래적 관점, 즉 궁극적으로는 중국조선말과 재일조선어 혹은 고려말, 나아가서는 문화어 사전의 내용도 그에 준하게 사용가능하게 협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우리말샘의 내용이 과거의 다음 글로벌대백과의 사례처럼 완전히 위키낱말사전에 녹아들어가는 것이 위키낱말사전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관리적 측면은 지부가 할 수 있는 범위의 일은 아니라 판단되어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덧붙여 일전에 지부에 메일을 보낸 게 있는데 처리가 되었으면 어떠하게 처리되었다, 혹은 처리가 안 되었으면 어떠한 사유로 그렇게 되었는지 늦게나마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6월 5일 (화) 19:26 (KST)
위백의 동일한 문단--Kenlee77 (토론) 2018년 7월 8일 (일) 19:50 (KST)
Update on page issues on mobile web
[편집]Update on page issues on mobile web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Hi everyone. The Readers web team has recently begun working on exposing issue templates on the mobile website. Currently, details about issues with page content are generally hidden on the mobile website. This leaves readers unaware of the reliability of the pages they are reading. The goal of this project is to improve awareness of particular issues within an article on the mobile web. We will do this by changing the visual styling of page issues.
So far, we have drafted a proposal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e were also able to run user testing on the proposed designs. The tests so far have positive results. Here is a quick summary of what we learned:
- The new treatment increases awareness of page issues among participants. This is true particularly when they are in a more evaluative/critical mode.
- Page issues make sense to readers and they understand how they work
- Readers care about page issues and consider them important
- Readers had overwhelmingly positive sentiments towards Wikipedia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page issues
Our next step would be to start implementing these changes. We wanted to reach out to you for any concerns, thoughts, and suggestions you might have before beginning development. Please visit the project page where we have more information and mockups of how this may look. Please leave feedback on the talk page.
CKoerner (WMF) (talk) 2018년 6월 13일 (수) 05:58 (KST)
한국어 어간 문제로 질문드립니다.
[편집]1. 익히 문서를 편집하다가, 의문이 들어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
- 1-1. 제가 아직 위키낱말사전에 익숙하지 않은 점 너그럽게 이해 부탁드립니다.
2. '익히'는 '익다'의 어간 '익-'과 접사 '-히'가 붙어서 만들어진 부사입니다.
3. 그럼 익히의 어원을 표시할 때, '익- + -히' 이렇게 기술하면 될까요?
- 3-1. 중국어 위키에는 위의 방식대로 '익- + -히' 이렇게 돼 있네요. wikt:zh:익히
- 수정해 봤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6월 30일 (토) 09:22 (KST)
- 아 답변을 못 봤는데,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Summerdawn497 (토론) 2018년 6월 30일 (토) 09:53 (KST)
- 수정해 봤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6월 30일 (토) 09:22 (KST)
4. 제가 잘 모른 채로 익 문서를 만들어버렸는데, 삭제 권한이 있으신 분 삭제 부탁드리겠습니다. --Summerdawn497 (토론) 2018년 6월 30일 (토) 09:05 (KST)
이 뜻의 다른 언어 번역을 알고 싶으시면 '[[]]'을(를) 참고하세요.
[편집]가끔 문서들을 보면
{{보기||}} [[en:ㅇㅇ]] [[zh:ㅇㅇ]]
이렇게 돼 있던데, 이거 무슨 뜻이죠? 지워도 되는 건가요?
--Summerdawn497 (토론) 2018년 7월 1일 (일) 02:07 (KST)
- 각각의 정보에 대해서는 틀:보기 및 w:위키백과:인터위키를 참고하세요. 참고로 틀:보기는 상황에 따라 틀:이철자나 틀:참고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7월 1일 (일) 18:30 (KST)
- [[en:ㅇㅇ]], [[zh:ㅇㅇ]] 는 위키데이터가 도입되기 전의 잔재입니다. 필요없는 부분입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2일 (월) 08:09 (KST)
- 보기는 명사 이리를 참고하세요.
- {{보기||}} , 매개변수 없는 보기는 삭제하시면 되겠습니다.--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2일 (월) 09:13 (KST)
- 의문이 해소되었습니다.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Summerdawn497 (토론) 2018년 7월 4일 (수) 06:35 (KST)
- {{보기||}} , 매개변수 없는 보기는 삭제하시면 되겠습니다.--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2일 (월) 09:13 (KST)
선거 지침 신설 건
[편집]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은 특수:활동적인사용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어느 정도의 기여자들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어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한국어 프로젝트 내 위키문헌과 더불어 기여자 수가 가장 많음에도 불구하고, 여타 한국어 프로젝트들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규정을 신설하거나 총의를 형성할 때, 또는 선거를 할 때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상황을 잘 모르는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참여가 있어왔고, 그리고 이것이 사실상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여겨져 왔습니다. 이는 위키낱말사전:관리자 선거#권리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에 영어판의 en:Wiktionary:Voting policy, 프랑스어판의 fr:Wiktionnaire:Votes를 참고하여 이에 해당하는 위키낱말사전:투표를 새로이 생성코자 하며, 거기에는 앞서 언급한 두 언어판과 동일하게 투표 자격의 경우에 총의는 물론 선거 자격까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자 하며, 다음은 참고용으로 인용한 두 언어판의 해당 기준입니다.
:동의합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6일 (금) 08:21 (KST)
투표 자격
위키낱말사전 사용자가 투표 자격이 있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 영어 위키낱말사전(다른 프로젝트에서 넘나들기보다는 현지에서 생성됨)에서 계정의 첫 기여가 투표의 시작 시간보다 적어도 1주 이전이어야 합니다.
- 계정은 투표의 시작 시간까지 영어 위키낱말사전 상에서 일반 이름공간, 부록, 인용, 유음어, 유의어, 재구, 색인을 통틀어 적어도 50회의 기여가 있어야 합니다.
- 한 사람당 한 번 투표합니다. 다중계정 투표 시 모든 연관된 계정이 차단됩니다.
투표자 충족 조건
(중략)
- 연수: 6달
- 지난 해(투표 365일 전)의 기여 수: 200
(중략)
이를 바탕으로 또 타 프로젝트들을 참고하여 한국어판의 기준을 생각해보자면,
- 계정은 투표 개시 시간으로부터 30일 전에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생성되어있어야 합니다 .
- 계정은 투표 개시 시간을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 총 20회 이상의 기여가 있어야 합니다.
- 한 사람당 한 번만 투표할 수 있으며, 다중계정의 투표 시, 모든 연관 계정이 차단됩니다.
정도면 적당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만 떼어다가 의견을 구하는 이유는 해당 지침을 만듦에 있어 가장 주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으로 이를 토대로 해당 문서를 생성하여 지침 논의를 이어가고자 하는데, 다들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Garam(논의) 2018년 7월 5일 (목) 19:50 (KST)
- 동의합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6일 (금) 08:23 (KST)
이견이 없습니다.--Kenlee77 (토론) 2018년 7월 8일 (일) 19:55 (KST)
- 지침 승격 논의는 위키낱말사전토론:투표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Garam(논의) 2018년 7월 14일 (토) 12:56 (KST)
290000단어 도달
[편집]현재 정확히 290000단어입니다. 30만도 얼마 남지 않았군요.--Kenlee77 (토론) 2018년 7월 30일 (월) 23:27 (KST)
- 호매가 차지한 듯 합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7월 31일 (화) 09:14 (KST)
사용자 문서 내 광고
[편집]방금 전에 이러한 광고를 발견하여 위키낱말사전:사용자 문서에서 이와 관련된 사항이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았으나 하지 말 것을 명시하였을 뿐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에 삭제를 한다거나 내용만 지운다거나 혹은 제재를 한다거나 하는 어떠한 조항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해당 광고는 소규모 위키 감시단(SWMT) 소속 사용자가 ‘spam’을 근거로 삭제 신청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문서를 통째로 삭제할 것인지, 혹은 해당 광고 링크(혹은 광고 문구)만을 지울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메타의 meta:Wiki spam 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프로젝트에 관련 지침이 없는 경우, 기여가 있는 모든 문서 내에서 광고 기여가 있을 경우에는 되돌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새로이 생성된 경우에는 삭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어 위키낱말에서도 이에 준하여 사용자 문서를 포함한 모든 새로이 생성된 문서 내에 명백하고 의심할 여지가 없는 광고성 내용일 경우에 문서를 삭제 가능하도록 하고, 만일 이러한 행위가 반복될 시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를 위키낱말사전:사용자 문서 및 위키낱말사전:삭제 정책, 위키낱말사전:차단 정책에 명시하였으면 합니다.(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지침들이 옛날의 것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서 다소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여 이 부분도 같이 다듬을 예정입니다.)
물론 이러한 광고나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문서 훼손 관련 기여들은 편집 필터로도 충분히 거를 수 있는 문제라고 보여지지만, 현재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 관리자가 없는 관계로 이건 힘들 거 같고 일단 가능한 측면에서 지침을 다듬는 차원에서 위와 같이 제안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Garam 논의 2018년 8월 2일 (목) 16:47 (KST)
- 찬성합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8월 6일 (월) 08:11 (KST)
선거 알림
[편집]모바일용 화면에서는 사이트노티스가 뜨지 않아 별도로 여기에 관리자 선거가 열렸다는 사실을 알립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13일 (월) 08:57 (KST)
어원 표기
[편집]어원 표기와 관련하여 틀:어원을 만들었으나 현재의 해당 틀은 모든 형태의 낱말의 어원을 나타내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바,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을 받고자 합니다. 정확히는 어떠한 형태로 틀의 결과물이 구현되고, 또 어떠한 변수가 포함되면 좋을지 하는 부분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싶은데, 사실 이를 위해서는 어원을 어디까지 인정하는가, 그리고 #어원에서 언급되었듯이 한국어의 한자어의 어원에서는 파자를 어디까지만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 같이 논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해 혼자 생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관련하여 생각하신 바가 있다면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14일 (화) 18:39 (KST)
- 1. 이전 어원 틀의 전철이 반복되지 않도록하기 위하여라도, 사용 범위는 제한적이었으면(합성어, 파생어, 통사적 결합어, 변화어(영변화 파생어)는 제외) 합니다.
- 1.1. 현대국어.
- 1.2. 단일어.
- 1.3. 한자어와 발음이 같은 단어.
- 2. 한자어는 어근 감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8월 15일 (수) 08:30 (KST)
- @뭉게구름: 혹 화면 상에 나타나는 결과물의 경우에도 현재의 형태가 아닌, 다른 어떠한 형태로 나왔으면 한다거나 하는 그런 의견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15일 (수) 18:53 (KST)
- 노동법 어원은 '勞動法(노동법)에서 유래한 한국어 한자음.'인데, '勞動法(노동법)의 한자음' 정도였으면 합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8월 16일 (목) 08:21 (KST)
Wiktionary Cognate Dashboard
[편집]Sorry for writing this message in English. Feel free to help translate it below.
Hello all,
A few months ago, we asked you for feedback about Cognate, the system allowing interwikilinks between Wiktionaries (on main namespace). Several community members gave some suggestions, one of them was to provide statistics about these interwikilinks.
The Wikidata team is pleased to present you the Wiktionary Cognate Dashboard, a website presenting a lot of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how Wiktionar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s. You can find there, for example:
- the most interlinked Wiktionary entries not having a page on your Wiktionary
- the number of interlinks between each possible pair of Wiktionaries
- visualization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Wiktionaries
To learn more about the tool, you can have a look at the documentation (please help us translating it in your language!). The interface of the tool itself can also be translated in other languages by using this page.
If you find a bug, please let a comment on this Phabricator task or ping me onwiki. Thanks a lot, Lea Lacroix (WMDE) 2018년 8월 14일 (화) 22:08 (KST)
사전에서 사라진 낱말
[편집]한 나라의 표준어로서 사전에 등재되어 쓰이던 낱말이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더이상 쓰이지 않거나 혹은 맞춤법이 변경되었거나 하여 사전에서 배제된 경우에는 그 낱말을 어떻게 표현하는 게 맞을까요? 가령, 얼음보숭이의 경우에는 1981년에 문화어에서 아이스크림을 다듬는 말로 《현대조선말사전 제2판》에 등재되었으나, 1992년의 《조선말대사전》부터는 해당 낱말이 사전에서 사라졌습니다. #1 그렇다면 이 낱말은 문화어인 것일까요, 혹은 옛말인 것일까요, 아니면 문서를 삭제되어야 하는 것일까요? 다른 예로, 2017년부터 표준어의 외래어 표기법이 변경되어 #2 쓰시마 섬의 경우에는 쓰시마섬으로, 요도가와 강의 경우에는 요도가와강, 비와 호의 경우에는 비와호로 일괄 변경되었는데, 그렇다면 기존의 앞말과 띄어쓰던 가(街), 강(江), 고원(高原), 곶(串), 관(關), 궁(宮), 만(灣), 반도(半島), 부(府), 사(寺), 산(山), 산맥(山脈), 섬, 성(城), 성(省), 어(語), 왕(王), 요(窯), 인(人), 족(族), 주(州), 주(洲), 평야(平野), 해(海), 현(縣), 호(湖)가 들어간 문서들은 앞말에 붙여쓰도록 이동시킨 다음에 기존의 띄어쓰던 문서들은 표준어로 봐야 할까요, 혹은 옛말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문서를 삭제해야 할까요?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Garam 논의 2018년 8월 18일 (토) 21:56 (KST)
- 얼음보숭이처럼 확인 가능하다면 문화어 하위로 가칭 '이전 문화어'로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른 변화없이 띄어쓰기만 바뀐 경우(비화 호에서 비화호)는 이용편의성을 위해서라도 넘겨주기 문서로만 존재하면 된다고 봅니다. 이를 옛말로 보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도 이를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와 구별하려고 이전 말이라는 형태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 뭉게구름 (토론) 2018년 8월 20일 (월) 08:11 (KST)
- @뭉게구름: 다른 언어판에서 넘겨주기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나요? 만일 없다면 넘겨주기에 대한 총의부터 수렴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27일 (월) 19:07 (KST)
- 다른 언어판에 존재한다면 왼쪽 도구 메뉴 아래쪽, 인터위키 나열에 표시되니 알 수 있습니다. -- 2018년 8월 27일 (월) 19:25 (KST)
- @뭉게구름: 그러한 의미가 아니라, 다른 언어판에서 그러한 지침이나 총의가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는 띄어쓰기 차이를 넘겨주기가 된 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면 독자들로 하여금 띄어쓰기가 된 문서가 어떠한 이유에서 넘겨주기가 되었는지 파악하기가 힘들 것이기 때문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27일 (월) 19:32 (KST)
- 다른 언어판에 존재한다면 왼쪽 도구 메뉴 아래쪽, 인터위키 나열에 표시되니 알 수 있습니다. -- 2018년 8월 27일 (월) 19:25 (KST)
철자가 다른 표기(color/colour나 자장면/짜장면)는 각각 독립 항목으로 등재되어야 하겠지만, 단순한 띄어쓰기 차이인 경우(국제연합, 국제 연합)에는 넘겨주기로 허용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을까요? 위키낱말사전:넘겨주기의 보강이 필요해보입니다. 일단 타언어판과의 인터위키도 연결시켜 놓았으니 타 언어의 규정도 고려해서 반영되었으면 합니다. -- ChongDae (토론) 2018년 11월 26일 (월) 13:13 (KST)
- 동의합니다. 다만, en:คำสรรพนาม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른 언어판이라고 하여 규칙이 모두 통일성을 가진 것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6일 (월) 13:17 (KST)
삭제 신청 시 요청
[편집]현재 분류:삭제 대상을 점검하면서 느낀 바가 있어, 이에 삭제 신청 시에 몇 가지 요청드리고자 합니다.
- 삭제 신청 시에는 그 사유를 명확히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상황 판단을 원활하게 해주셨으면 합니다.
- 일부 삭제 신청 문서들에서는 그 사유가 제대로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저작권 침해나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이 없음에도 그 내용이 지워져 있어 이런 경우에는 관리자가 해당 문서의 삭제에 대한 결정을 선뜻 하기가 어렵습니다.
- 삭제 신청 시에는 문서 내 좌측에 있는 도구 탭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문서가 다른 ‘일반 문서’에서 쓰이고 있는지 확인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 만일 쓰이고 있다면 그 문서 내 링크를 대체하거나 혹은 삭제가 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채로 쓰이고 있는 문서는 위키 내에 쓰임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곧장 삭제하기가 어렵습니다.
- 삭제 신청 시에는 문서 작성자 및 주 기여자에게 문서가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대부분 삭제 신청이 되는 문서는 연습이나 홍보성인 경우나 많으나, 초보자의 실수인 경우도 존재하기에 선의의 차원에서 이를 알려주고, 만일 해당 사용자가 개선하기를 원한다면 개선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면 위키낱말사전의 질적 측면에서도, 해당 사용자의 흥미 측면에서도 모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실 이러한 부분들은 무심코 지나가는 부분일 수도 있으나, 이 하나하나가 위키를 관리하고 정비하는 데에 사소하다면 사소하겠지만 사실상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당부 차원에서 의견을 남겨보았습니다. 이것과 별개로 관리 측면에서 도움이 필요하다거나 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제 사용자 토론 문서나 위키낱말사전:관리자 요청 등을 통해 요청해주시면 가능한 한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8월 27일 (월) 19:06 (KST)
초안 문서들의 질 향상을 위해 온라인 에디터톤이 개최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현재 한국어 낱말 초안은 4만 1천여개, 영어 낱말 초안은 25000개가 넘어갑니다. --Kenlee77 (토론) 2018년 9월 25일 (화) 11:52 (KST)
- 의도는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개최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다소 다르겠지만 위키낱말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유로운 저작물이 다소 한정적인 상황에서 참여를 유도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9월 25일 (화) 13:22 (KST)
@Garam: 시도는 해봐야할텐데, 국립국어원이나 사전을 출판하는 출판사의 협조를 구하는 것은 어렵겠지요? 퍼블릭 도메인 사전이 있으면 좋겠군요.--Kenlee77 (토론) 2018년 9월 25일 (화) 13:35 (KST)
- @Kenlee77: 현재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의 경우에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저작물에 대해서는 어떠한 라이선스도 부여하고 있지 않으나, 틀:국립국어원으로 쓰이고 있듯이 우리말샘 등 자신들의 하위 특정 웹사이트 상의 저작물은 CC BY-SA 2.0-kr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9월 25일 (화) 13:39 (KST)
@Garam: 우리말샘X위키낱말사전이 되려나요?--Kenlee77 (토론) 2018년 9월 25일 (화) 14:11 (KST)
- @Kenlee77: 우리말샘의 경우에는 위키낱말사전과 다소 비슷하게 운영되고는 있으나 그 주체가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므로, 굳이 이들이 위키낱말사전과 에디터톤을 해서 얻을 수 있는 실익은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뭐, 지부가 직접 나선다면이야 조금 달라질지도 모르겠네요. --Garam 논의 2018년 9월 25일 (화) 14:29 (KST)
@Garam: 타 언어판 위낱에서는 에디터톤을 개최한 바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열렸는지 궁금하군요.--Kenlee77 (토론) 2018년 9월 25일 (화) 14:32 (KST)
Need Help Evaluating New Korean Language Processor
[편집]안녕하세요! Sorry for posting in English.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EN: I'm working on evaluating a new language processor for Korean, named Nori. I hope it will improve search results on Korean wikis. There are many parts to the Korean language processor that need to be evaluated. I am looking for speakers of Korean to help.
The first section looks at tokenization and compounds. Tokenization is breaking text up into individual words. Compounds are multi-part words that are useful to treat both as one unit, and as parts. There are 17 example sentences that have been broken up into words (tokenization), with some words broken up into parts (compounds). The Nori language processor will use these words to match documents when searching.
The second section looks at translating Hanja to Hangeul for search. There are 55 examples of one or more Hanja and their Hangeul equivalents. Using the Nori language processor, searching for any of the words in a group would find the others. There is a preference for an exact match, so searching for Hanja would prefer results with Hanja, if everything else is equal.
The third section looks at stemming. Stemming links related forms of words together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Searching for one term in a group will find all the others. For example, searching for any of 찾아, 찾습니다, 찾읍시오, or 찾음 would find the rest. Compounds are also grouped by their parts, so compounds with a part in common will be grouped together.
The fourth section looks at "large groups". These are the largest groups of words that result from analyzing compounds, converting Hanja to Hangeul, and stemming. They are often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are the most likely to have errors.
If you are able to help by looking at one or more of the groups above, or translating this message, that would be very helpful! Please leave questions or feedback about the specific examples on the talk page. Please feel free to ask questions about the purpose of the language processor or other general questions here or on the talk page.
감사합니다! TJones (WMF) (토론) 2018년 10월 3일 (수) 05:24 (KST)
- 한국어(Korean):
저는 노리(Nori)라는 이름을 가진 한국어용 새로운 언어 처리장치를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어 위키들의 검색 결과가 개선되기를 희망합니다. 한국어 처리장치에 많은 부분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저는 한국어 화자들의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첫번째 부문에서는 형식화 및 복합어를 검토합니다. 형식화는 글을 각각의 낱말로 나누는 것입니다. 복합어는 복수 낱말로, 낱개 단위 및 구성성분으로서 표현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낱말들로 나누어지고(형식화), 일부 낱말들은 구성성분으로 나뉘어진(복합어) 17개의 예문이 있습니다. 노리 언어 처리장치는 이 낱말들을 사용하여 검색 시에 문서들을 이어줍니다.
두번째 부문에서는 검색할 한자를 한글로 옮깁니다. 한 가지 이상의 한자와 그 한글 동어로 된 55개의 예문이 있습니다. 노리 언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한 덩어리의 어떤 낱말들을 검색하면 다른 낱말들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정확한 일치를 선택함은, 만일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한자를 검색 시에 한자로 된 결과를 고르게 됩니다.
세번째 부문은 흐름입니다. 흐름은 검색을 위해 관련 낱말들의 형태를 서로 연결합니다. 한 덩어리 내 한 용어를 검색하면 모든 다른 낱말들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찾아’, ‘찾습니다’, ‘찾읍시오’, ‘찾음’ 중 어느 것을 검색하면 나머지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복합어는 또한 그 부분별로 나뉘므로, 공통 부분을 지닌 복합어는 서로 나뉘어질 것입니다.
네번째 부문은 “큰 덩어리”입니다. 이는 복합어를 분석하고, 한자를 한글로 변환하며, 흐름에서 기인한 낱말들의 가장 큰 덩어리입니다. 보통 이해하기 매우 어렵고, 또 오류가 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만일 위의 하나 이상에 관하여 도움을 주거나, 또는 이 서신을 번역해준다면 매우 도움이 될 겁니다! 특정한 예시에 대한 질문이나 조언이 있다면 토론 문서에 남겨주세요. 언어 처리장치의 목적에 대한 질문이나 다른 일반적인 질문은 여기나 토론 문서에서 자유롭게 해주세요.
--Garam 논의 2018년 10월 9일 (화) 18:07 (KST)
현 악의적인 접근과 관련하여
[편집]최근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내에 다중계정을 악용하거나 거짓된 내용을 고의적으로 삽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비공개된 편집 필터를 통해 걸러내고 있으나 위에 명시한 것과 같이 일부 사례에 있어서는 그러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당 계정들은 거의 동시간대에 비슷한 형태의 악의적인 편집 경향을 보이는 관계로 그 경중이 결코 가볍지 않다고 판단하여 무기한 차단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기여들은 다른 한국어 자매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 바가 있어 각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9일 (금) 12:45 (KST)
틀:lang가 잘 동작하지 않아 보이는데 왜 그렇습니까? 틀토론:lang#Test를 보시면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프랑스어판은 fr:Discussion modèle:Lang#Test에 있는 바와 같이 잘 동작합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0일 (화) 14:33 (KST)
- @TAKASUGI Shinji: 현재 제가 보는 화면 상에서는 프랑스어판과 동일하게 그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저 각각의 문자가 동일하게 보이고 있다는 것인가요? --Garam 논의 2018년 11월 20일 (화) 15:44 (KST)
- PC 상에서는 그런데 지금 휴대폰으로 봤더니 한자는 구별됩니다. 환경 의존성이 있어서 분석이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정상적으로는 모두 다 다르게 나와야 됩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0일 (화) 16:01 (KST)
- @TAKASUGI Shinji: 현재 다중 기기로의 접근이 다소 힘든지라 차후에 한 번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1일 (수) 19:22 (KST)
- 일본어판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일단 하고 싶었던 것은 화상으로 해결했습니다. (Special:Diff/3967367)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1일 (수) 20:09 (KST)
- @TAKASUGI Shinji: 몇 가지 기기로 확인을 해보니, 대체적으로 잘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모바일에서는 ‘\’의 경우에 모두 ‘\’(‘/’의 반대 빗면)으로 표시되어 문자적인 차이는 없으나 해당 기울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앞서 동일하게 보였던 것은 이용 환경의 차이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언어판들과 같이 논의해볼만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5일 (일) 11:25 (KST)
- 슬래시와 역슬래시는 엄연히 다른 문자입니다. 문자적 차이가 없다는 말은 거짓입니다.58.122.122.247 2018년 11월 25일 (일) 12:03 (KST)
- Garam님 말은 둘 다 backslash인데 각도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Wiki 수학 화상에서 사용되는 backslash는 \ (U+005C) 말고 ∖ (U+2216)인 것 같습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5일 (일) 12:49 (KST)
- 해당 의견은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 의견으로 보입니다. 해당 IP를 비롯한 일련의 IP 대역들은 현재 한국어 자매 프로젝트들에서 여러 분란성 행위로 차단되었거나 차단중에 있으며, 동일한 사유로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도 차단되었음을 밝힙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5일 (일) 12:54 (KST)
- Garam님 말은 둘 다 backslash인데 각도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Wiki 수학 화상에서 사용되는 backslash는 \ (U+005C) 말고 ∖ (U+2216)인 것 같습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5일 (일) 12:49 (KST)
- 슬래시와 역슬래시는 엄연히 다른 문자입니다. 문자적 차이가 없다는 말은 거짓입니다.58.122.122.247 2018년 11월 25일 (일) 12:03 (KST)
- @TAKASUGI Shinji: 몇 가지 기기로 확인을 해보니, 대체적으로 잘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모바일에서는 ‘\’의 경우에 모두 ‘\’(‘/’의 반대 빗면)으로 표시되어 문자적인 차이는 없으나 해당 기울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앞서 동일하게 보였던 것은 이용 환경의 차이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언어판들과 같이 논의해볼만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5일 (일) 11:25 (KST)
- 일본어판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일단 하고 싶었던 것은 화상으로 해결했습니다. (Special:Diff/3967367)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1일 (수) 20:09 (KST)
- @TAKASUGI Shinji: 현재 다중 기기로의 접근이 다소 힘든지라 차후에 한 번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21일 (수) 19:22 (KST)
- PC 상에서는 그런데 지금 휴대폰으로 봤더니 한자는 구별됩니다. 환경 의존성이 있어서 분석이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정상적으로는 모두 다 다르게 나와야 됩니다. ― TAKASUGI Shinji (토론) 2018년 11월 20일 (화) 16:01 (KST)
Advanced Search
[편집]Johanna Strodt (WMDE) (talk) 2018년 11월 26일 (월) 20:02 (KST)
현재 문서 내 예문에 각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통일할 필요를 느껴 다른 언어판의 틀들을 참고하여 틀:예문을 생성해보았습니다.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틀의 설명문서에 명시해놓았으니 참고하시고, 이와 관련하여 질문이나 의견이 있다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Garam 논의 2018년 11월 30일 (금) 20:15 (KST)
Interested by a translation editor for your project?
[편집]Hello, sorry for speaking in English.
As you may know, there exists a gadget that allows to add translation to Wiktionary projects very easily. This gadget already exists on a few projects (en.wikt, fr.wikt, etc.).
Skalman and I are considering creating a gadget that would be suitable to various wiktionary projects, including yours. I have a few questions for you:
- Would you be interested in such a tool?
- Is there anyone (preferably a sysop) that would be up to cooper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gadget?
Looking forward to hearing from you, --Automatik (토론) 2018년 12월 3일 (월) 06:02 (KST)
번역: 프로젝트를 위한 번역 편집기에 관심이 있습니까?
[편집]안녕하세요.
알다시피, 위키낱말사전 프로젝트에서 아주 쉽게 번역을 추가하는 가젯(gadget)이 있습니다.
이 가젯은 이미 몇몇 프로젝트에서 실존하고 있습니다.(예: 영어판, 프랑스어판 등.)
Skalman와 저는 여러분들을 포함한 다양한 위키낱말사전 프로젝트들에 적합한 가젯을 만드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을 위한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 위의 도구에 관심이 있습니까?
- 위 가젯의 완성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누군가(가급적 관리자)가 있습니까?
여러분으로부터의 이야기를 고대합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3일 (월) 12:13 (KST)
- @Automatik: I translate it. I am sysop of this project, and I am interested in your suggest. Thanks. --Garam 논의 2018년 12월 3일 (월) 12:13 (KST)
-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필요한 기능이라고 예전부터 생각해왔었고, 이를 어떻게 구현하는 게 맞는지 고심하던 찰나였기에 위의 제안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그와는 별개로 다른 분들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3일 (월) 13:01 (KST)
- 고맙습니다 Garam. Thanks also for translating. I added you as a contact in [1] and will come back to you whenever I will need your assistance to implement the gadget here (it may require changing some translations templates, or running a bot to clean the wikicode in translation sections if it appears to be sometimes fuzzy). --Automatik (토론) 2018년 12월 3일 (월) 19:24 (KST)
낱말 번호 변경 제안
[편집]* '''1.'''
현재 위와 같이 쓰이는 낱말 번호를 #
부호로 바꿔쓸 것을 제안합니다. 위키백과 등 자매프로젝트에 익숙한 사용자는 물론 위키낱말사전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들도 뜻을 어디에 써야할지 몰라서 헤매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가령, 부호와 진하게를 하지 않거나, 부호와 점을 하지 않거나, 점을 하지 않거나, 부호를 제외하고 전체를 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도 발생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미 주요 다른 언어판에서는 #
부호로 통일해서 쓰고 있으므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로 이와 같이 결정되었을 경우의 이동은 예문 부분의 연동하는 부분까지 다소 시일은 걸리겠지만 봇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Garam 논의 2018년 12월 16일 (일) 01:24 (KST)
- 대찬성입니다. 여태껏 번호 매기느라 너무 힘들었습니다. 코드 중에
##
를 써서, 하위 단계의 일련번호를 표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 점은 유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8년 12월 16일 (일) 10:23 (KST)
Selection of the Tremendous Wiktionary User Group representative to the Wikimedia Summit 2019
[편집]Dear all,
Sorry for posting this message in English and last minute notification. The Tremendous Wiktionary User Group could send one representative to the Wikimedia Summit 2019 (formerly "Wikimedia Conference"). The Wikimedia Summit is an yearly conference of all organizations affiliated to the Wikimedia Movement (including our Tremendous Wiktionary User Group). It is a great place to talk about Wiktionary needs to the chapters and other user groups that compose the Wikimedia movement.
For context, there is a short report on what happened last year. The deadline is very close to 24 hrs. The last date for registration is 17 December 2018. As a last minute effort, there is a page on meta to decide who will be the representative of the user group to the Wikimedia Summit created.
Please feel free to ask any question on the wiktionary-l mailing list or on the talk page.
For the Tremendous Wiktionary User Group, -- Balajijagadesh 2018년 12월 16일 (일) 14:56 (KST)
위키미디어 정상 2019에 경이로운 위키낱말사전 사용자 모임 대표자의 선정
[편집]모든 분들께,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 영어로 이 글을 쓰게 되어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경이로운 위키낱말사전 사용자 모임은 위키미디어 정상 2019(구 ‘위키미디어 회의’)에 대표자를 보낼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회담은 위키미디어 운동에 연계하는 모든 단체(우리 경이로운 위키낱말사전 사용자 모임 포함)의 연간 회담입니다. 이는 위키미디어 운동을 이루는 지부와 다른 사용자 모임에 위키낱말사전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할 중요한 장소입니다.
정황에 대해서는, 작년에 일어난 일에 관한 짧은 보고서가 있습니다. 기한은 24시간으로 상당히 촉박합니다. 마지막 등록일은 2018년 12월 17일입니다. 막바지의 노력으로써, 메타에 위키미디어 정상에 누가 사용자 모임의 대표자가 되는가를 결정할 문서가 생성되었습니다.
wiktionary-l 메일링 리스트 혹은 논의 문서에서 어떠한 질문이든 편하게 물어보세요.
Balajijagadesh가, 경이로운 위키낱말사전 사용자 모임을 위해.
--Garam 논의 2018년 12월 16일 (일) 20:24 (KST)
새로운 틀
[편집]낱말과 관련해서 위키백과에 있는 문서로 연결해 주는 틀:위키백과 참고 처럼 위키문헌에 있는 자료를 이어주는 틀:위키문헌 참조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은데 여기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분들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 이유
- 예문을 작성할 때 위키문헌에 있는 원문을 참조해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위키낱말사전과 위키문헌의 교류를 활성화함
이상입니다. --푸른낙엽 (토론) 2018년 12월 22일 (토) 23:24 (KST)
- 지금 생각해보니 극소수의 문학 문서들을 제외하면 쓸일이 없어서 의견을 철회합니다. --푸른낙엽 (토론) 2018년 12월 23일 (일) 00:04 (KST)
- @푸른낙엽: en:Category:Interwiki templates 분류를 보시면 말씀하신 en:Template:wikisource 틀을 비롯한 자매 프로젝트 관련 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en:Virgil 등 영어판의 쓰임으로 보아할 때,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의 문서 중 한국어 위키문헌의 저자 이름공간에 존재하는 이름이나 서적의 경우에는 문서 내 품사 이름 문단 아래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키생물종을 비롯한 다른 자매 프로젝트도 비슷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Garam 논의 2018년 12월 23일 (일) 22:20 (KST)
- @푸른낙엽: 틀:위키문헌이 생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틀은 삼국사기 문서 내의 쓰임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Garam 논의 2019년 1월 4일 (금) 02:15 (KST)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원칙 표기에서 뜻을 서술하고
허용표기에서는 원칙표기랑 같은 말이라고 연결하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낱:표기법에 따라 외래어를 표기할 때는 남한의 규범과 북조선의 규범을 모두 고려하게 되는데 둘다 '레이다'를 규범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radar나 관련개념을 서술하는 한국어 낱말 문서들은 레이다를 사용하는 제목으로 옮기고, 기존 표제어는 새 표제어랑 같은 뜻이라고 서술하는 안에 대해 총의를 모으고자 합니다. -Moonlover369 (토론) 2018년 12월 25일 (화) 19:28 (KST)